반응형 해부학/신경21 손목 처짐과 손 저림, 요골신경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신경경로부터 셀프 치료법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팔과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날 때 한 번쯤 의심해 볼 수 있는 요골신경 증후군(Radial nerve syndrom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골신경은 팔과 손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는 중요한 말초신경 중 하나인데요. 다른 신경들보다 압박을 덜 받는 편이지만, 만약 문제가 생긴다면 손목이 처지거나(dropped wrist) 손과 손등 그리고 엄지손가락 쪽으로 저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골신경 증후군을 어떻게 자가 진단할 수 있을까요? 또 집에서 할 수 있는 셀프 치료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 이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요골신경이란?요골신경(Radial nerve)은 C5~T1 신경근에서 시작하여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뒤쪽.. 2025. 3. 10. 비골신경(Peroneal nerve) 압박과 감각 저하 : 원인, 증상 및 해결 방법 1. 비골신경 압박과 감각 저하의 개요발과 발가락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신경 압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비골신경(Peroneal nerve), 경골신경(Tibial nerve), 비복신경(Sural nerve) 등이 압박을 받을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골신경은 해부학적으로 무릎 외측을 따라 얕은 층을 지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압박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시간 앉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다리를 반복적으로 꼬는 습관,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 등은 비골신경이 눌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 압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신경 가동성을 .. 2025. 2. 27.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해부학, 극상근, 극하근 테스트와 견갑상신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운동법은? 견갑상신경과 극상근, 극하근 문제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견갑상신경과 관련된 테스트 마지막으로 신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견갑상신경은 상완신경총 상부인 (C4) C5~C6에서 나옵니다. 견갑상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신경이고 극상근과 극하근을 담당합니다. 감각신경은 견갑상완인대, 견갑하활액낭, 견갑쇄골관절, 견갑상완관절낭을 담당합니다. 견갑상신경의 특징으로는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면 극상근과 극하근에 통증과 기능저하가 나타나는데 견갑골 내 극관절와절흔에서 신경압박이 일어나면 극하근의 위축(Atrophy)이 나타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2. 견갑상신경 신경 경로경추.. 2025. 2. 14. 손목, 팔꿈치 저림증상? 요골신경 압박 증후군 자가 진단 & 치료법! 요골신경은 C5~T1에서 나온 신경들이 모여 요골신경을 이룹니다. 팔과 손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는 중요한 말초신경 중 하나로 다른 신경들보다는 압박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면 팔과 손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며, 손목 처짐(dropped wrist)이나 손 저림 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요골신경 증후군을 확인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자가진단법과 셀프 치료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요골신경요골신경은 C5~T1에서 뒤쪽 다발로 합쳐졌다가 요골신경이 됩니다. 요골신경은 다시 심부 요골신경과 표층요골신경으로 바뀌게 되고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도 구분이 됩니다. 운동신경은 상완과 전완, 손으로 구분됩니다. 요골신경 상부에서는 삼두근(Triceps brahii).. 2025. 2. 6. 말초신경 손상의 원인과 재활 방법! 효과적인 치료법은? 말초신경 손상이란?말초신경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사고, 수술 등)과 신경 종양입니다. 손상된 신경은 감각 장애, 통증, 근력 저하, 심한 경우 운동 기능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상의 정도와 회복 속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손상 후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신경 이식 수술이 표준 치료법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물리치료, 운동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등 다양한 보존적 치료 방법을 함께 사용합니다. 말초신경 손상의 기전 - 신경이 손상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말초신경이 손상되면 신경 세포(뉴런)와 이를 감싸는 슈반 세포가 반응하며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회복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세포의.. 2025. 2. 5. 발 & 발가락 저림 증상 원인! 비골신경(peroneal nerve) 압박 및 해소 방법 발과 발가락이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있다면 부위별로 조금 다를 수 있지만 비골신경, 경골신경, 비복신경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오래 앉아 있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한 후 저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비골신경 압박이 원인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골신경 압박의 원인,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비골신경이란?비골신경(peroneal nerve)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비골신경은 어디에서 왔는지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좌골신경(Sciatic nerve)에서 경골신경(Tibial nerve)과 공통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rve)으로 분지를 하고 공통비골신경이 다시 비골신경, 비골신경은 다시 심비골신경(Deep peron.. 2025. 2. 3. 팔꿈치 근처 전완 저림 or 통증이 있을 때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압박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근피신경은 상완신경총 중에 하나의 신경으로 상완신경총을 나타내는 그림들을 보면 항상 가장 위에 위치하는 신경입니다. 이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면 상완 하부, 전완부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상완신경총에 대해서 정리하는 중이라 오늘은 그 시작으로 근피신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근피신경은 척수 C5~C7에서 시작합니다. 운동기능과 감각기능 모두 가지고 있는 신경이고 팔 앞쪽에 위치하는 오훼완근(coracobrachilis), 상완이두근(biceps brahii), 상완근(brachialis)의 운동을 담당합니다. 피부의 감각을 담당하는 부위는 전완의 측면의 피부를 담당합니다. 근피신경의 진행 경로는 C5~C7에서 시작해서 소흉근 아래쪽을 지나서 오훼완.. 2024. 8. 18. 삼차신경(Trigeminal nerve)과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증상과 평가 방법 대부분은 삼차신경에 대해서 잘 모르고 계신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이유는 척추와 사지처럼 통증의 빈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대략적으로 얼굴에 있는 신경이고 문제가 생기면 얼굴과 턱에 통증이 생긴다라고 알고 계실 겁니다. 그러나 삼차신경통이나 비슷한 경우로 얼굴부위에 통증이 있었던 분들에게는 절대 잊어버릴 수 없는 신경이 될 것입니다. 삼차신경의 문제 또는 삼차신경통은 통증이 굉장히 심하고 얼굴 근육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굉장히 불편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삼차신경과 삼차신경통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삼차신경(Trigeminal nerve)삼차신경은 뇌신경 중에 5번째 신경으로 얼굴과 이마의 감각, 저작근들을 모두 지배하는 신경으로 모든 뇌신경 중에 가장 큰 신경.. 2024. 7. 31. 경추 5번(C5) 부위에 디스크가 의심될 때 해야 하는 테스트! 경추 부위에 디스크가 발생하거나 의심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내가 디스크인지 아닌지 당연히 병원에서 의사 선생님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래도 사람은 항상 지금 당장 바로 알고 싶어 하는 습성이 있어서... 저도 그렇습니다. 간략하게 경추 5번에 대해서 디스크가 맞다면 무슨 증상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정확하지는 않지만 디스크일 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는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추 5번(C5)경추 5번은 경추 4번 뼈와 5번 뼈 사이에 위치하는 신경입니다. 경추 5번부터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을 형성하게 하기 때문에 다양한 신경으로 분지 합니다. 등 쪽 견갑 신경(Dorsal scapular nerve), 횡격막 신경(Phrenic nerve), 장흉신경(Long.. 2024. 7. 13. 척골신경(Ulnar nerve) 압박과 손 & 손가락 저림 증상과 원인! 간단한 이완 방법 척골신경은 상지신경 중에서 그렇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신경 중에 하나지만 생각보다 문제를 많이 일으킵니다. 정중신경 다음으로 신경압박 문제가 잘 일어나고 특히 새끼손가락과 내&외측 손바닥에 저림 증상이 잘 나타납니다. 저림 증상과 통증 기능저하가 일어나게 하는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척골 신경에 대한 것들을 몇 가지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척골신경(Ulnar nerve) 척골신경은 척측(새끼손가락 쪽)에 위치해서 척골신경이라고 하고 상완골 내측에서 전완 내측을 따라서 새끼손가락 쪽으로 진행합니다. 이 신경은 C8~T1에서 시작해서 상완신경총을 거쳐 척골신경이 되는데 대부분 척골신경에 대해서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되는데 그 이유가 일상생활에서 팔꿈치를 어딘가에 부딪치고 전완과 새끼손가락 쪽으로 전기.. 2024. 4. 9. 요골신경(Radial Nerve) 해부학과 압박 증후군(Entrapment syndrome) 요골신경은 상지를 담당하는 큰 신경 중에 하나로 다른 신경에 비해서 지배하는 근육이 많은 신경입니다. 그래서 요골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면 통증을 동반하지만 근육 이상의 결과가 나타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골신경은 어떤 신경이며 어떤 경로로 진행되고 압박이 일어나는 지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골신경(Radial nerve) 요골신경 말 그래로 목에서 시작해서 상지를 거쳐 전완에 있는 요골쪽 그리고 마지막에는 엄지손가락 쪽으로 가는 신경을 말합니다. 시작은 경추 C5~T1에서 시작해서 뒤쪽 다발(Posterior cord)로 진행되고 조금 더 진행하면 소흉근을 지나가게 되는데 소흉근을 지남으로써 요골신경이 됩니다. 요골신경은 하나이지만 이 신경은 소흉근 밑에서 손까지 진행하면서 여러 신경을 분지 하게 됩.. 2024. 4. 6. 원인 모를 엉덩이 & 허벅지 뒤쪽 통증 하둔부 신경 압박(Inf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을 확인해야 한다. 엉덩이 피부를 담당하는 신경은 둔부 신경(Cluneal nerve)이 있습니다. 이 둔부 신경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뉘어서 엉덩이 피부 전체와 항문 가장자리 허벅지 뒤쪽 부분을 담당합니다. 넘어져서 엉덩이를 찧었거나 부상을 당한 것이 아닌데 어느 날 갑자기 엉덩이 또는 허벅지 뒤쪽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면 둔부 신경의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합니다. 그중에서 오늘은 하둔부 신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하둔부 신경 해부학 자주 발생하는 한쪽 허리 및 엉덩이 통증은 허리의 문제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서도 상부 둔부 신경의 문제로 인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부 신경 압박으로 인해서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는 많지는 않지만 좌골 조면(ishicial tuberosity) 근처 허벅지 후면 상.. 2024. 2. 14. 복재신경(Saphenous Nerve) 압박 증후군 / 통증 원인과 압박 포인트 복재신경은 하지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서혜부에서부터 발까지 연결되어 있는 신경입니다. 신경 자체가 길어서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 부위 또한 많습니다. 복재신경의 경로와 해부학 통증 원인과 압박 포인트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복재신경(Saphenous Nerve) 복재신경은 하지에서 가장 긴 신경입니다. 요추 L3~L4의 복측 가지(ventral rami)에서 분지 해서 하지로 신경이 내려갑니다. 요추에서 신경이 분지하면 바로 복재신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대퇴신경(Femoral Nerve)입니다. 대퇴신경인 상태에서 서혜부 인대를 지나가면(대략 서혜부 인대 하부 8cm)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데 그중에 허벅지 내측으로 내려가는 신경이 복재신경입니다. 복재신경의 경로 위에 간략하게 설명하였지만 복재신경은.. 2023. 12. 14.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의 해부학 및 압박 증후군 장흉신경은 이름처럼 흉곽에 위치한 긴 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목에 있는 상완신경총에서 시작해서 흉곽 측면으로 길게 밑으로 진행하는 신경이며 전거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장흉신경에 관한 정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신경의 시작지점은 C5~C7의 앞쪽 가지입니다. 때로는 C8(인구의 약 8% 정도가 가지고 있음)에서도 시작합니다. 다른 많은 상완신경총에서 나오는 신경들과 마찬가지로 이 신경 또한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를 지나가게 됩니다. 사각근을 지난 장흉신경은 쇄골아래로 들어간 후 전거근의 중간 부위(액와선)에서 수직으로 내려갑니다. C5, C6에서 분지한 신경은 중사각근 또는 그 근처에 연결되고 C7에서 분지 한 신경은 C5,6에서 나온 신경과 융합.. 2023. 11. 30. 표면 요골 신경 압박(Superficial Radial Nerve Entrapment) 케이스 요골신경이란 요골신경은 목에서 나온 신경이 상완신경총을 이루고 거기서 합쳐지고 나눠지면서 크게 5가지 신경으로 분류가 되는데 그중에 요골 쪽(엄지 손가락 쪽) 근육과 피부를 담당하는 신경을 말합니다. 이 신경은 목에서 나와 사각근을 지나서 흉곽출구를 지나 상완골을 감싸서 돌고, 전완부에서 요골 쪽으로 진행해서 엄지와 검지 부위에서 끝나는 신경입니다. 요골신경은 위에서 말한 여러 부위에서 압박이 가능합니다. 신경압박은 항상 정확하게 어디에서 압박이 일어나는지를 찾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입니다. 오늘 포스팅은 요골신경 압박 케이스에 대해서 이야기하려고 하는데 바로 케이스의 주인공이 바로 저입니다. 제가 지금 요골신경 압박으로 손가락이 저려서 정보를 찾고 저한테 적용해 가는 과정을 공유하면 좋을 거 같아서 글.. 2023. 7. 26. 좌골신경통(Sciatica) 증상으로 인한 왼쪽 다리 저림 해결법 좌골신경통이란 좌골신경통은 질병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증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좌골신경(sciatic nerve)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주로 한쪽으로만 나타납니다. 엉덩이부터 발까지 어디든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신경압박이 원인이 되는데 디스크에 의한 신경압박 또는 전방전위증, 협착증, 이상근의 문제, 골반 변형 등에 의해서 나타납니다. 좌골신경통이 나타나는 이유는 일상생활 근골격계의 과사용 혹은 부정렬로 인해서 신경을 압박하는 어떤 요인이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료법은 근골격계 치료와 주사 치료를 많이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좌골신경통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고 셀프로 할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증상(symptom) 신경이 눌리는 경우에는 정말 다양한 증상.. 2023. 6. 29. 앞쪽 허벅지부터 발가락까지 저림 증상[대퇴 신경 : Femoral nerve] 허벅지부터 발가락까지 저리게 할 수 있는 신경은 허벅지 앞쪽과 내측으로 지나가는 대퇴신경(femoral nerve)뿐입니다. 대퇴신경은 허벅지 앞쪽에서 가장 큰 신경이고 대퇴 신경은 L2 ~ L4에서 분지 해서 골반 앞쪽을 지나서 허벅지 앞쪽과 내측으로 진행합니다. 이 신경이 손상을 입거나 압박을 당하게 되면 저림 증상, 무감각, 근력 약화, 통증 등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부위가 허벅지 앞쪽과 서혜부, 내측 종아리 내측과 엄지발가락입니다. 대퇴 신경의 진행 경로 위에서 언급한 대로 L2 ~ L4에서 시작합니다. 장골(iliac bone)의 앞쪽으로 지나가는데 대퇴 신경의 바로 아래는 장골근(iliacus)과 장요근(psoas major)이 존재하고 이 근육들을 싸고 있는 근막(fascia iliaca).. 2023. 3. 25. 허벅지 통증(외측대퇴피신경 : Lateral Cutaneous Femoral Nerve) 외측대퇴피신경(LCFN) 이신경은 말 그대로 허벅지의 외측의 피부를 담당하는 신경입니다. 요추 신경총에서 2번째와 3번째 요추신경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근육을 움직이는 운동신경은 존재하지 않고 감각신경(sensory nerve)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경의 대략적인 경로는 요추에서 나와서 장요근(psoas major)을 지나고 아래쪽 바깥방향으로 진행을 해서 장골근을 지나서 허벅지 바깥쪽으로 뻗어 나갑니다. 외측대퇴피신경에서 압박이 발생하면 허벅지 상부 & 외측면에 감각이상이 생기고 통증도 같이 동반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다른 말로 Meralgia paresthetica(대퇴감각이상증, 지각이상성 대퇴신경통)라고 합니다. 그리스어로 '넓적다리'를 의미하는 meros와 '통증'.. 2023. 1. 25. 견갑배신경[DSN : dorsal scapular nerve] 견갑배신경(DSN) 견갑배신경은 상완 신경총에서 분지하고 C5 ventral ramus에서 나오고 가끔 C4도 같이 견갑거근과 능형근을 지배하는 근육입니다. 이 신경은 운동신경으로 견갑골을 올리고 수축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견갑배신경의 진행 루트는 목에서 나와 후경부 삼각(posterior cervical triangle)의 깊숙한 척추 앞근막(prevertebral fascia)과 중사각근을 뚫고 나오거나 중사각근 후면을 지나서, 견갑거근 뒤쪽면을 따라 상후거근으로 이동합니다. 그다음 능형근 안쪽면에서(상후거근과 능형근 사이 공간으로 주행) 견갑골 내측면을 타고 아래 방향으로 내려와서 능형근을 지배합니다. 견갑배신경(DSN) 압박 포인트 위 그림은 척추앞근막(preverterbral fascia)과 목.. 2023. 1. 14. 척골신경(Ulnar nerve) 손, 손가락 저림 증상 척골신경(Ulnar nerve) 척골신경은 상완신경총에서 나오는 신경 중에 하나로 C8~T1 신경뿌리에서 기원한 신경입니다. 손바닥과 손등, 4, 5지의 감각과 운동을 지배하는 신경입니다. 이 척골신경의 운동신경 파트가 담당하는 근육들은 척측 수군 굴근(Flexor carpi ulnaris), 심지 굴근 내측 1/2(Medial half of Flexor digitorium profundus), 단장근(Palmaris brevis), 소지구(Hypothenar muscles) 부위, 모지 내전근(Adductor pollicis), 충양근(Medial two lumbricals) 내측 1/2, 모든 골간근(Interossei of the hand)이 있습니다. 피부를 담당하는 감각신경 파트는 소지와 배측과.. 2022. 12.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