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부학164

천장관절 통증 검사(Sacroiliac joint pain test)와 안정화 테이핑 천장관절은 신체 중심에 위치한 중요한 관절입니다. 골반의 부정렬로 인해서 좌우 틀어짐이 항상 발생하고 다양한 통증을 나타내며, 좌우 골반의 가동성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런 천장관절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테스트를 진행하고 불안정성과 관련된 테이프를 부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오늘 알아보겠습니다. 천장관절 통증 검사천장관절에는 다양한 질병이 있고 많은 통증의 원인들이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는 주변 근육입니다. 많은 큰 근육들이 골반에 부착지를 가지고 있고, 또 천장관절을 지나갑니다. 보행과 일상생활 중에 발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하지를 통해 골반에서 모두 받게 되고 상체의 무게 또한 골반에서 모두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골반(천장관절)을 안정화시키는 크고 강력한 인대들이 손상을.. 2025. 7. 14.
엉덩이, 골반 후외측 통증 원인으로 흉요추근막과 상둔신경(Superior Cluneal Nerve) 둔부 및 골반 후방 및 외측에 통증은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가장 빈도가 높게 나타나는 통증의 원인은 주변 근육과 근막의 경직으로 인한 통증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흉요추근막과 관련해서 신경이 압박되고 그로 인해서 둔부 및 골반 주변에 통증이 나타나는 기전과 해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흉요추근막의 구조흉요추근막(Thoracolumbar fascia)은 요추 후면에 위치하는 가장 표층에 위치하는 근막으로 다양한 구조물들과 연결되어서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위로는 광배근과 연결되고 아래로는 대둔근과 해부학적 연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후방사선 슬링(Posterior Oblique Sling)이라 불리는 구조의 중앙에 위치하게 됩니다. 조금 더.. 2025. 7. 12.
어깨 통증 중 회전근개 파열 (극상근 완전 파열) 확인하는 방법! 렌트 테스트(Rent test)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면 원인을 찾는 게 쉽지 않습니다. 많은 관절들과 더 많은 근육들이 팔을 움직일 때 쓰이고 목에서 팔로 내려가는 신경들도 통증을 나타내기 쉽기 때문에 다양한 원인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회전근개 파열 테스트 방법들이 많이 있는데 여러 가지 다양한 질병들이 섞여 있으면 정확하게 어떤 근육에 문제가 발생했는지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회전근개 파열 중에서 극상근 파열을 찾을 수 있는 테스트로 정확도가 높은 테스트인 렌트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렌트 테스트(Rent Test) 방법환자는 앉아 있는 자세를 취하고 검사자는 뒤에 서서 시작합니다. 검사하려고 하는 쪽 팔을 편하게 놓으라고 지시하고 검사자는 어깨 전면부(상완골두)를 가볍게 촉진합니다. 그다음 반대편.. 2025. 7. 1.
고관절 움직임 제한의 원인이 되는 인대와 대퇴비구 충돌 증후군(FAI :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고관절 움직임은 보행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움직임입니다. 발과 무릎도 마찬가지긴 한데 발과 무릎은 구조물이 상대적으로 작고 수술이나 깁스 등 치료적으로 용이한 부분이 있습니다. 그러나 고관절은 주변 근육들도 크고 움직임 제한이 일어났을 때 신체 거동이 거의 불가능해집니다. 고령이신 분들은 다리 쪽에 문제가 발생하는 게 안 좋은데 그중에서 가장 안 좋은 부분이 골반과 고관절입니다. 그래서 고관절 가동성을 제한하는 원인들이 무엇인지 확인해 보고자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고관절 움직임과 인대에 대한 내용은 맨 아래 포스팅을 참조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내용이 다소 오래되었지만 기본적인 내용은 충분히 들어가 있습니다. 고관절의 움직임 제한은 특정 질환에 의해서 일어날 수도 있고 고관절 움직.. 2025. 6. 25.
대퇴근막장근(TFL : Tensor Fasciae Latae)의 경직의 원인과 보상 작용 그리고 키네지오 테이프 적용법 골반 변형 또는 부정렬이라고 불리는 현상은 누구에게나 있지만 약간씩 변형의 정도와 방향이 조금씩 다릅니다. 그래도 가장 많은 변형 형태는 거의 정해져 있습니다. 그러한 상태 중에 항상 경직되어 있는 대퇴근막장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대퇴근막장근은 작은 근육이지만 장경인대와 연결되어 있어서 골반에서부터 무릎까지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근육이기 때문에 조금 자세하게 공부해 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퇴근막장근 해부학기시(Origin) : 장골능 외측, 전상장골극의 외측면, 대퇴근막의 심층부정지(Insertion) : 대퇴부의 근위, 장경인대작용(Action) : 고관절 굴곡, 내회전, 외전, 슬관절 신전보조지배신경(Nerve) : L4,5, S1 상둔신경 1) 대퇴근막장근 촉.. 2025. 6. 19.
횡격막(Diaphragm)과 연결된 근육과 횡격막 기능 평가 방법 횡격막은 우리 인체에서 가장 많이 일하는 근육 중에 하나입니다. 사람이 살아 있는 동안 잠을 잘 때도 쉬지 않고 일하는 근육들이 있는데 심장과 바로 횡격막입니다. 대략적으로 성인이 하루에 2만 번 호흡을 하게 되는데 횡격막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문제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에서 중요도가 높은 근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횡격막에 대해서 구조와 기능 그리고 횡격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테스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횡격막 해부학기시 : 검상돌기 후방 측면, 7~12번 늑골 내측면, 크루라(Crura) - L1~2 요추(좌측), 1~3번 요추(우측)정지 : 중앙 힘줄작용 : 호흡 운동, 흡기 시 하강(흉강 압력감소), 호기 시 상승(흉강 압력.. 2025. 6. 19.
무릎 관절의 회전 변형 측정법과 교정 테이핑 부착법 무릎 관절에는 항상 회전 변형이 발생합니다. 무릎을 완전히 펼 때 대퇴골을 기준으로 경골의 외회전이 항상 일어나게 됩니다. 발과 경골, 대퇴골 그리고 골반까지 연결되는 하지에서 각 부위의 변형으로 바로 위나 아래 위치하는 관절에 보상을 일으킵니다. 하지에서 일어나는 회전 변형과 보상은 항상 헷갈리는 내용인 거 같습니다. 저도 완전히 이해하고 있지는 않지만 무릎 관절의 변형과 관련된 발과 경골, 슬개골 대퇴골의 변형과 보상 작용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무릎 관절의 일반적인 움직임대퇴골이 정상적인 위치에 있다는 전제에서 하퇴는 일반적으로 외회전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경골의 외회전이 일어나야 무릎 관절에서 완전한 신전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움직임을 스크류 홈 기전(Screw ho.. 2025. 6. 15.
무릎 안정화를 위한 내측 & 외측 측부인대(MCL, LCL) 부착지와 촉진, 그리고 테이핑 부착법 무릎은 다양한 이유로 불안정성이 발생하는 부위이면서 동시에 체중의 증가나 잘못된 자세로 인해서 고통받는 대표적인 부위 중에 하나입니다.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대표하는 것들은 구조물과 인대, 근육 등이 있는데 오늘은 무릎의 내외측에 위치하는 측부인대에 대해서 알아보고 불안정한 인대를 보강하기 위한 테이핑 부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 생각보다 측부인대의 위치를 잘 모르고 계셔서 조금 자세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무릎인대의 해부학1) 내측측부인대(MCL : Medial Collateral Ligament)내측측부인대의 부착지는 대퇴골에 하나 경골에 두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퇴골 내측과의 가장 위쪽에는 대내전근이 부착되어 있고 바로 아래에 내측측부인대의 부착지가 있습니다. 내측측부인대를 촉진하기 위해서 대.. 2025. 6. 13.
반월상연골(Meniscus) 구조와 해부학 그리고 직접 연결된 조직들 정리 무릎관절은 신체에서 체중 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여성분들에게 통증을 많이 일으키는 관절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이유로 무릎의 굴곡과 신전, 회전이 잘 일어나지 않거나 통증이 있는 상태에서 일어납니다. 그중에 관절 사이에 위치하는 반월상연골(Meniscus)에 의해서 움직임 제한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월상연골의 구조와 해부학을 이해하면 반월상연골의 문제로 일어나는 통증을 해소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반월상연골 구조와 해부학적으로 직접 연결된 구조들이 무엇이고 이 구조들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월상연골의 구조 및 해부학무릎관절 안에 위치하는 구조물로 대퇴골과 경골의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 분산과 관절 닿는 면적을 넓혀서 관절.. 2025. 6. 12.
골반 틀어짐을 파악하는 방법과 원리(좌와 검사 : 부정렬 증후군) 부정렬 증후군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 신체의 전반적인 부정렬을 정리한 부정렬 증후군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책이 조금 두툼하고 내용도 많지만 생각보다 재미있는 책입니다. 오늘은 책 내용 중에 골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측정법 중에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를 번갈아 가면서 골반의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어 그 내용을 정리하면서 설명을 해보도록 해보겠습니다. 좌와 검사(Supine to long sit test)좌와 검사라는 말에서 알 수 있을 거 같은데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를 번갈아 가면서 어떤 변화를 보고 골반의 상태를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골반의 부정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앉은 자세와 누운 자세의 다리 길이를 측정하고 각각의 다리 길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테.. 2025. 6. 10.
뉴만(kinesiology) 무릎 챕터 다시 알게 된 것들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오랜만에 뉴만책을 보게 되었는데 다시 한번 보고 정리를 해야겠다 하는 파트가 있었습니다. 발에 관련된 자료를 많이 보다가 생각보다 무릎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자료들을 보다 뉴만을 봤더나 익숙하면서도 너무 생소한 부분들이 있어서 정리도 할 겸 블로그로 남겨 놓아 보겠습니다. 1. 무릎의 해부학적 구조중 생소한 것들내측측부인대(MCL : medial collateral ligament)에 대한 내용을 여기저기서 보다가 어느 자료는 표층과 심층으로 나눠져 있고 다른 자료에서는 표층, 중간층, 심층으로 나눠져 있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조금 더 디테일한 해부학들을 보면 구조물들을 더 나눠서 각각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들이 많아서 가끔 내가 알고 있.. 2025. 5. 25.
스포츠 & 교정 테이프(키네지오)는 그냥 붙이면 되나? 목적에 따른 테이프 부착법! 정리! 최근에는 운동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가장 많이 하는 운동으로는 러닝이 대세가 된 거 같습니다. 여전히 웨이트 트레이닝, 필라테스, 구기종목과 라켓경기도 많이들 하시고 계신 거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생활 속에서 운동을 하시면서 부상을 자주 겪게 되시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스포츠 테이프, 키네지오 테이프를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찾아보고 셀프로 하시는 분들이 많아진 거 같습니다. 당연히 테이프 붙이는 방법도 알려드릴 수 있지만 그건 천천히 진행하고 우선은 목적에 따라서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이 몇 가지가 있기 때문에 목적에 맞는 테이프 부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포츠 테이프(키네지오 테이프)스포츠 테이프라는 용어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키네지오 테이프, 또는 탄성 테이프라는 용어가 맞.. 2025. 5. 22.
손목 처짐과 손 저림, 요골신경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신경경로부터 셀프 치료법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팔과 손 저림 증상이 나타날 때 한 번쯤 의심해 볼 수 있는 요골신경 증후군(Radial nerve syndrom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요골신경은 팔과 손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는 중요한 말초신경 중 하나인데요. 다른 신경들보다 압박을 덜 받는 편이지만, 만약 문제가 생긴다면 손목이 처지거나(dropped wrist) 손과 손등 그리고 엄지손가락 쪽으로 저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요골신경 증후군을 어떻게 자가 진단할 수 있을까요? 또 집에서 할 수 있는 셀프 치료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오늘 이 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요골신경이란?요골신경(Radial nerve)은 C5~T1 신경근에서 시작하여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의 뒤쪽.. 2025. 3. 10.
비골신경(Peroneal nerve) 압박과 감각 저하 : 원인, 증상 및 해결 방법 1. 비골신경 압박과 감각 저하의 개요발과 발가락이 저리거나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신경 압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특히 비골신경(Peroneal nerve), 경골신경(Tibial nerve), 비복신경(Sural nerve) 등이 압박을 받을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비골신경은 해부학적으로 무릎 외측을 따라 얕은 층을 지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압박되기 쉬운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장시간 앉은 자세를 유지하거나, 다리를 반복적으로 꼬는 습관, 무릎을 꿇고 앉는 자세 등은 비골신경이 눌리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경 압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신경 가동성을 .. 2025. 2. 27.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해부학, 극상근, 극하근 테스트와 견갑상신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운동법은? 견갑상신경과 극상근, 극하근 문제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견갑상신경과 관련된 테스트 마지막으로 신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견갑상신경은 상완신경총 상부인 (C4) C5~C6에서 나옵니다. 견갑상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신경이고 극상근과 극하근을 담당합니다. 감각신경은 견갑상완인대, 견갑하활액낭, 견갑쇄골관절, 견갑상완관절낭을 담당합니다.  견갑상신경의 특징으로는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면 극상근과 극하근에 통증과 기능저하가 나타나는데 견갑골 내 극관절와절흔에서 신경압박이 일어나면 극하근의 위축(Atrophy)이 나타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2. 견갑상신경 신경 경로경추.. 2025. 2. 14.
손목, 팔꿈치 저림증상? 요골신경 압박 증후군 자가 진단 & 치료법! 요골신경은 C5~T1에서 나온 신경들이 모여 요골신경을 이룹니다. 팔과 손의 감각 및 운동을 담당하는 중요한 말초신경 중 하나로 다른 신경들보다는 압박이 많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신경에 문제가 발생하면 팔과 손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며, 손목 처짐(dropped wrist)이나 손 저림 증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요골신경 증후군을 확인하는 방법들이 있는데 자가진단법과 셀프 치료법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요골신경요골신경은 C5~T1에서 뒤쪽 다발로 합쳐졌다가 요골신경이 됩니다. 요골신경은 다시 심부 요골신경과 표층요골신경으로 바뀌게 되고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도 구분이 됩니다.       운동신경은 상완과 전완, 손으로 구분됩니다. 요골신경 상부에서는 삼두근(Triceps brahii).. 2025. 2. 6.
말초신경 손상의 원인과 재활 방법! 효과적인 치료법은? 말초신경 손상이란?말초신경 손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외상(사고, 수술 등)과 신경 종양입니다. 손상된 신경은 감각 장애, 통증, 근력 저하, 심한 경우 운동 기능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손상의 정도와 회복 속도는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히 손상 후 빠른 치료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신경 이식 수술이 표준 치료법이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물리치료, 운동 치료, 전기 자극 치료 등 다양한 보존적 치료 방법을 함께 사용합니다. 말초신경 손상의 기전 - 신경이 손상되면 어떤 일이 일어나나?말초신경이 손상되면 신경 세포(뉴런)와 이를 감싸는 슈반 세포가 반응하며 손상된 부분을 제거하고 회복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세포의.. 2025. 2. 5.
근육의 기능장애란? 근육 기능 저하의 원인 총정리! 근육의 기능장애는 근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질병 및 장애이며 주요 증상은 골격근 약화입니다. 근육이 약화된 상태를 근이영양증, 신경근 질환 및 신경근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근육의 기능장애의 종류1. 신경근 피로신경은 근육 수축의 횟수, 순서, 힘을 결정하여 근육의 수축을 제어합니다. 신경이 시냅스 피로를 경험하면 신경에 분포되어 있는 근육을 자극할 수 없게 됩니다. 대부분의 움직임에는 근육이 잠재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힘보다 훨씬 낮은 힘이 필요하며, 병리학적인 현상을 제외하고 신경근 피로는 거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힘을 생성하는 근육 능력의 상한선에 가까운 극도로 강력한 수축의 경우, 신경근 피로는 훈련되지 않은 개인에게 제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초보 근력 트레이너의 경우 힘을 생.. 2025. 2. 4.
발 & 발가락 저림 증상 원인! 비골신경(peroneal nerve) 압박 및 해소 방법 발과 발가락이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있다면 부위별로 조금 다를 수 있지만 비골신경, 경골신경, 비복신경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오래 앉아 있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한 후 저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비골신경 압박이 원인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골신경 압박의 원인,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비골신경이란?비골신경(peroneal nerve)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비골신경은 어디에서 왔는지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좌골신경(Sciatic nerve)에서 경골신경(Tibial nerve)과 공통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rve)으로 분지를 하고 공통비골신경이 다시 비골신경, 비골신경은 다시 심비골신경(Deep peron.. 2025. 2. 3.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기능과 움직임, 그리고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한 해부학적 특징들!! 장무지신근은 기능적으로 일반저긍로 심도있게 다뤄지는 근육이 아닙니다. 우선 발 근육에 대해서 관심이 별로 없고 큰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더더욱 관심에서 멀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발목과 발가락을 들어 올리는(배측굴곡) 근육 중에 하나이고 신경압박이 있는지 확인하는 근육으로도 쓰이고 발의 변형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다양한 방향에서 장무지신근에 대해서 접근해서 그 정도를 조금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쓰려고 합니다.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기시점 : 경골과 비골 골간막(Interosseous membrane), 비골의 내측면에 부착됩니다. 엄지발가락쪽에 부착되어 있을 거 같지만 실제로는 약간 외측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정지점 : 엄지발가락 원위 지절골(Base of th.. 2025. 1.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