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복재신경은 하지에서 가장 긴 신경으로 서혜부에서부터 발까지 연결되어 있는 신경입니다. 신경 자체가 길어서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 부위 또한 많습니다. 복재신경의 경로와 해부학 통증 원인과 압박 포인트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복재신경(Saphenous Nerve)
복재신경은 하지에서 가장 긴 신경입니다. 요추 L3~L4의 복측 가지(ventral rami)에서 분지 해서 하지로 신경이 내려갑니다. 요추에서 신경이 분지하면 바로 복재신경이 되는 것이 아니라 대퇴신경(Femoral Nerve)입니다. 대퇴신경인 상태에서 서혜부 인대를 지나가면(대략 서혜부 인대 하부 8cm)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데 그중에 허벅지 내측으로 내려가는 신경이 복재신경입니다.
복재신경의 경로
위에 간략하게 설명하였지만 복재신경은 서혜부인대 지나서 시작이고 허벅지 내측에 위치하는 내전근관을 통과합니다. 이 관은 외측에는 내측광근, 내측에는 내전근(대내전근), 상부에는 봉공근으로 만들어진 삼각형의 관을 말합니다. 이 관을 통과하고 무릎 내측으로 나옵니다.
무릎 내측으로 나온 복재신경은 신경 가지 하나를 무릎 쪽으로 보냅니다. 이 신경은 슬개골하 복재신경 가지(Infrapatellar Saphenous nerve)입니다. 이 신경은 무릎 내측과 주변 부위의 감각을 담당하게 됩니다.
무릎을 지난 복재신경은 경골의 내측면을 따라서 내려옵니다. 내측 복사뼈 위쪽을 지나서 발등 쪽으로 진행하고 발등 부위 혹은 발목, 엄지발가락 중족골 까지도 신경이 진행합니다.
복재신경의 기능
복재신경은 순수한 감각신경이기 때문에 근육의 움직임에는 관여하지 않습니다. 가장 위로는 하복부 혹은 허벅지 내측 상부 아래쪽으로는 발의 내측면까지의 피부감각을 주로 지배합니다.
감각신경이기 때문에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감각이상 시에 구별하는 방법으로 근육 테스트를 사용합니다. 다른 신경 이상(신경병증) 시에는 보통 통증과 감각이상뿐만 아니라 근육의 힘이 떨어지거나 움직임에 이상을 나타내는데 복재신경의 문제에서는 근육의 힘이나 움직임 이상은 없고 통증과 감각이상만 있기 때문에 구별(감별진단)할 수 있습니다.
복재신경 압박 시 증상
감각신경이지만 불편감과 다리가 무겁고 피곤한 느낌이 많이 듭니다. 또 보행 혹은 서 있는 동안에 통증이 점차 증가하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통증이나 불편감이 심하면 잠시지만 보행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복재신경에 염증이 발생하면 발적과 열, 부종이 발생합니다. 또 많은 사람들의 경우 야간에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무릎 주면으로 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무릎을 꿇을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 하지의 무겁고 피곤한 느낌
- 파행
- 보행 혹은 기립 시 통증 증가
- 야간 통증
- 염증 시 발적, 열, 부종
- 무릎 꿇을 때 통증
복재신경 압박 포인트
1. 서혜부인대(Inguinal Ligament)
요추에서 나온 신경이 대퇴신경이 되고 복재신경이 되기 전에 서혜부인대에서 압박을 당하게 되면 하복부 혹은 허벅지 내측에 통증이나 감각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혜부인대가 복재신경을 압박하기 위해서는 골반의 틀어짐이 발생해야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서혜부인대는 골반의 전상장골근(ASIS)에서 치골에 부착되기 때문입니다.
골반의 후방 회전이 일어나게 되면 치골부착부는 고정 상태에서 전상장골극(ASIS) 부착부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그러면 서혜부인대는 팽팽해지면서 인대 아래에 있는 여러 조직들(동맥, 정맥,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그중에 복재신경이 압박당하게 될 수 있습니다. 후방 회전 말고 좌측과 우측의 ASIS를 연결하는 복횡근 및 복사근 즉 복근의 단축으로 인해서 좌우 모든 서혜부인대가 단축하게 되면 골반이 서로 모이는 현상(Inflare) 역시 복재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2. 내전근관(Adductor Canal or Hunter's Canal)
내전근관은 허벅지 내측에 위치하고 전체 허벅지로 보면 중간 1/3 부위에 위치합니다. 그리고 이 관의 총길이는 대략 15cm 정도가 됩니다. 처음에 경로에서 설명한 데로 내전근관을 형성하는 근육들은 내측광근(외측), 내전근(후면), 봉공근(전면)으로 삼각형 모양의 관입니다.
이러한 형태를 가지게 되면 가장 먼저 압박을 의심하게 되는 것은 관을 이루는 3개의 근육들이 비대해져서 관을 좁게 만들면 압박이 가능할 것입니다. 다른 근육들도 커지지만 내측광근의 크기가 커서 근육 비대로 인한 압박에서는 내측광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전근관은 유착으로 인해서도 충분히 압박을 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타박이나 미세한 손상의 반복으로 인해서 주변 조직이 손상이 나타나고 그로 인해서 반흔이 형성되면 관이 딱딱해지거나 좁아져서 복재신경을 자극 또는 압박할 수 있습니다.
3. 그 외의 문제
이외에도 무릎과 정강이 발목 부위에도 압박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가 있습니다. 그중에 무릎 압박 포인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복재신경은 무릎을 지나가면서 무릎으로 신경 하나를 분지 하는데 슬개골 아래쪽(가끔 위쪽으로 가는 신경 혹은 위아래 2개의 신경을 가지기도 함)에 위치하거나 내측에서 슬개골을 지나서 외측으로 조금 더 길게 위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무릎 수술을 하게 되면 메스로 피부표면을 절개할 때 이 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로 인해서 무릎 내측에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 이 부위에는 거위발건이 위치하고 거위발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점액낭이 위치하는데 여기에 염증이 발생하여 복재신경을 압박하게 되는 경우도 자주 발생합니다. 그러면 염증으로 인한 무릎 내측 통증과 복재신경 압박으로 인한 무릎 통증이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염증이 없어지더라도 복재신경에 대한 자극으로 통증이 남는 경우가 있습니다.
'해부학 > 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골신경(Radial Nerve) 해부학과 압박 증후군(Entrapment syndrome) (0) | 2024.04.06 |
---|---|
원인 모를 엉덩이 & 허벅지 뒤쪽 통증 하둔부 신경 압박(Inferior Cluneal Nerve Entrapment)을 확인해야 한다. (6) | 2024.02.14 |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의 해부학 및 압박 증후군 (1) | 2023.11.30 |
표면 요골 신경 압박(Superficial Radial Nerve Entrapment) 케이스 (0) | 2023.07.26 |
좌골신경통(Sciatica) 증상으로 인한 왼쪽 다리 저림 해결법 (0) | 2023.06.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