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과 발가락이 저리고 감각이 둔해지는 증상이 있다면 부위별로 조금 다를 수 있지만 비골신경, 경골신경, 비복신경 중에 하나입니다. 특히 오래 앉아 있거나 특정한 자세를 취한 후 저림 증상이 지속된다면 비골신경 압박이 원인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골신경 압박의 원인, 증상 그리고 효과적인 해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비골신경이란?
비골신경(peroneal nerve)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비골신경은 어디에서 왔는지 먼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좌골신경(Sciatic nerve)에서 경골신경(Tibial nerve)과 공통비골신경(Common peroneal nerve)으로 분지를 하고 공통비골신경이 다시 비골신경, 비골신경은 다시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과 천비골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으로 분지 합니다.
다시 비골신경에 집중해서 비골신경은 무릎 바깥쪽에서 비골 주변을 지나기 때문에 쉽게 압박될 수 있습니다. 이유는 생각보다 표층에 위치하기 때문에 다리를 꼬고 오래 앉거나, 무릎을 꿇는 자세, 양반다리를 반복하게 되면 신경이 눌리면서 저림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비골신경의 특징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경골신경과 공통비골신경으로 분지 하는데 경골신경은 공통비골신경보다 2배 큽니다. L4~S2 후방 부분에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혼합신경으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비골신경이 담당하는 근육
심비골신경 : 전경골근(Tibial anterior), 장지신근(Extensor digitorum longus),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제3비골근(Peroneal tertius), 단지신근(Extensor digitorum brevis), 제1 배측골간근(Dorsal interossei)
천비골신경 : 장비골근(Peroneal longus), 단비골근(Peroneal brevis)
# 비골신경이 담당하는 피부분절
- 공통비골신경
a. 외측비복신경(lateral sural cutaneous) : 하퇴 외측 후면
b. 전회귀가지(Anterior recurrent peroneal N.) : 무릎관절
c. 비복교통신경(Sural communication N.) : 하퇴 후면
- 심비골신경 :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 공간
- 천비골신경 : 전외측 하퇴 1/3, 1~4지와 발등 대부분
2. 비골신경의 진행 경로
좌골신경에서 보통 이상근 아래를 지나서 대내전근과 대퇴이두근 사이로 진행됩니다. 공통비골신경은 대퇴이두근 내측으로 진행해서 비골두 아래에 위치하는 장비골근의 섬유골성 비골터널(fibro-osseous peroneal tunnel)에서 천비골신경과 심비골신경으로 분지 됩니다.
다시 천비골신경은 장비골근 아래로 진행하고 하퇴 하부에서 장지신근 외측으로 진행해서 발가락 끝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심비골신경은 전경골근과 장지신근 사이로 진행하고 하퇴 하부에서 장지신근과 장무지신근 사이로 진행해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도달하게 됩니다.
3. 비골신경 압박 부위
1) 비골신경 압박 부위 중에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부위는 대퇴이두근과 비복근 외측두 기시점입니다. 이 부위에서는 대퇴이두근의 비대 또는 단축, 비복근 외측두의 단축과 비대로 인해서 이 근육 사이를 지나가는 비골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2) 비골신경이 가장 많이 압박되고 손상되는 부위는 비골두 아래에 위치하는 비골터널(장비골근 아래)입니다. 이곳은 신경의 방향이 급격하게 변하고 신경이 근육 아래에 있는 터널을 통과하기 때문에 신경이 잡아당겨지면 자극을 받기 굉장히 쉬운 곳입니다.
다른 부위들은 정강이 근육들 사이와 전강이 근육을 감싸고 있는 근막을 뚫고 나오는 과정에서 압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발목 상 & 하신전지지대(Superior & Inferior Extensor Retinaculum) 아래에서도 신경이 압박됩니다.
다른 부위는 혼자서 이완하거나 스트레칭하기 힘들지만 비골두 바로 아래 비골터널은 혼자서 셀프로 이완이 가능하기 때문에 오늘은 비골터널에서 비골신경이 압박되었을 때 이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4. 비골신경 압박 이완법
비골터널은 비골두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장비골근의 기시점이 만들어낸 터널이기 때문에 장비골근이 짧아지게 되면 아래로 지나가는 비골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그리고 발목 염좌로 인해서 장비골근의 손상, 또는 스포츠 상황에서 장비골근이 과도하게 자극을 받게 되면 근육 경직으로 인해서 비골신경이 압박되게 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장비골근 자체를 이완해야 합니다.
1) 장비골근 압박 + 발목 움직임
폼롤러 또는 테니스공으로 비골두 바로 아래 위치하는 장비골근을 압박한 상태에서 발목을 회전시켜 장비골근의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하면 장비골근을 이완할 수 있습니다. 회전 반향은 시계방향, 반시계방향 번갈아 가면서 실시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2) 비골신경 셀프 신경가동술
비골신경을 가장 많이 신장시킬 수 있는 자세를 먼저 알고 있으면 셀프로 신경가동술을 할 수 있습니다.
비골신경을 가장 많이 신장시키려면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고관절 굴곡(hip flexion), 슬관절 신전(knee extesion), 발목 저측굴곡(plantar flexion), 발목 내번(inversion) 상태를 만들면 비골신경이 가장 많이 늘어나게 됩니다.
비골신경 셀프 신경가동술은 무릎 부위, 둔부, 발목 부위를 구분해서 신경을 자극할 수 있지만 가장 쉽게 하는 방법은 아래 사진처럼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밴드 또는 수건을 발 전족부에 감고 발복 저측굴곡, 발목 내번(inversion) 상태에서 하지를 내전 시켰다 중립위치로 돌아오기를 반복합니다.
발 & 발가락 저림 증상 원인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신경압박 그중에서도 비골신경압박의 원인과 진행경로, 압박 부위와 해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해부학 > 신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팔꿈치 저림증상? 요골신경 압박 증후군 자가 진단 & 치료법! (0) | 2025.02.06 |
---|---|
말초신경 손상의 원인과 재활 방법! 효과적인 치료법은? (0) | 2025.02.05 |
팔꿈치 근처 전완 저림 or 통증이 있을 때 근피신경(musculocutaneous nerve)압박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0) | 2024.08.18 |
삼차신경(Trigeminal nerve)과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 증상과 평가 방법 (0) | 2024.07.31 |
경추 5번(C5) 부위에 디스크가 의심될 때 해야 하는 테스트! (0) | 2024.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