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신경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해부학, 극상근, 극하근 테스트와 견갑상신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운동법은?

by 지식 수집가! 2025. 2. 14.
반응형

견갑상신경과 극상근, 극하근 문제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견갑상신경과 관련된 테스트 마지막으로 신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

견갑상신경은 상완신경총 상부인 (C4) C5~C6에서 나옵니다. 견갑상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신경이고 극상근과 극하근을 담당합니다. 감각신경은 견갑상완인대, 견갑하활액낭, 견갑쇄골관절, 견갑상완관절낭을 담당합니다. 

 

견갑상신경의 특징으로는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면 극상근과 극하근에 통증과 기능저하가 나타나는데 견갑골 내 극관절와절흔에서 신경압박이 일어나면 극하근의 위축(Atrophy)이 나타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2. 견갑상신경 신경 경로

경추 5~6번에서 시작해서 전사각근(Scalene Antrior)과 중사각근(Scalene Middle) 사이를 지나게 됩니다. 사각근을 지나기 전까지는 상완신경총이고 사각근을 지나고 난 후에는 말초신경(Peripheral N.)인 견갑상신경이 됩니다. 신경이 견갑설골근(Omohyoid M.)에 도달한 후 바로 견갑상신경으로 분지 하게 됩니다.

 

 

견갑상신경의 경로를 어깨 부위에서 자세하게 나타낸 그림
견갑상신경 어깨 부위 경로

 

 

 

위 그림을 보면서 경로를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견갑설골근 위로 견갑상신경이 지나가고 쇄골과 견갑골 사이로 진행하게 됩니다. 

 

그다음에는 견갑골의 견갑상절흔(Suprascapular notch)이라는 구조물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 부위는 견갑골에 움푹 파인 공간이 있고 그 부위로 견갑상신경이 지나가게 됩니다. 그리고 그 위를 상횡견갑인대가 덮고 있습니다. 무조건 견갑상절흔으로 들어가고 그 위를 상횡견갑인대가 덮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위와 같은 형태로 신경이 지나갑니다.

 

견갑상절흔은 극상근이 덮고 있고 그 위를 승모근이 다시 덮고 있어 생각보다 깊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견갑상신경의 견갑골 내에서 진행경로와 지나가는 구조물
견갑상신경의 견갑골내 경로

 

 

 

견갑골 견갑상절흔을 통과한 후 바로 아래에 견갑골극을 지나가게 되는데 이 부위에도 움푹 파인 곳이 존재하는데 이 부위를 극관절와절흔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처럼 극하근에 덮여 있습니다. 각 절흔들을 지나자마자 극상근과 극하근에 운동신경 가지를 분지하고 근육을 지배합니다.

 

3. 견갑상신경 압박 부위와 원인

견갑상신경의 압박부위는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사각근에서 압박될 수 있지만 이 부위는 제외하겠습니다. 그러면 위에 언급한 두 개의 절흔에서 압박이 일어납니다. 

 

1) 견갑상절흔(Suprascapular notch)

견갑상절흔에서 압박되는 이유는 신경의 경로 때문도 있지만 견갑골이 움직여서 신경을 당기기 때문에 자극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견갑상신경은 경추에서 나온 후 하외측으로 진행한 후 견갑살절흔에서 경로가 갑자기 바뀌게 되는데 이때 견갑골이 외측으로 벌어지게(전인) 되거나 아래로 하강되는 경우 견갑상신경을 당기게 되면서 손상을 받거나 자극을 주게 되어서 극상근 또는 극하근에 통증 및 근육약화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또 이 부위의 견갑상신경은 견봉쇄골관절을 신경지배하기 때문에 심각하고 갑작스러운 어깨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깨와 견갑골 부위 후외측에 둔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극상근과 극하근에 근력 저하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2) 극관절와절흔(Spinoglenoid notch)

극관절와절흔도 견갑상절흔과 같은 이유로 견갑골의 과도한 움직임으로 견갑상신경을 자극하고 신장시켜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주로 어깨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인 스포츠 상황에서 견갑골의 위치에 이상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위에 설명한 데로 견갑상신경을 당기는 자극이 발생하게 되면서 손상 및 자극이 일어납니다.

 

 

 

견갑상신경의 루트를 보여주는 그림이고 극관절와절흔에 신경이 압박되는 포인트도 보여준다.
극관절와절흔(Spinoglenoid notch)

 

 

 

4. 극상근과 극하근 테스트

견갑상신경 손상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극상근 테스트 - Empty Can Test

극상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테스트로, 팔의 외전 기능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테스트 방법

- 환자는 어깨를 90도 외전(abduction)하고 30도 전방 굴곡(flexion) 한 상태에서 엄지를 아래로 향하게 합니다. 

- 검사는 환자의 손목을 아래쪽으로 누르며 저항을 주고, 환자는 이를 버티도록 합니다.

- 통증이 발생하거나 근력이 저하되면 극상근 손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양성 반응인 경우 환자가 저항을 버티지 못하고 팔이 내려가거나 통증을 호소하면 극상근검염(Suprascpinatus Tendinitis) 혹은 견갑상신경 손상을 의심합니다.

 

 

극상근 테스트 empty can test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그림
극상근 테스트(Empty Can Test)

 

 

 

2) 극하근 테스트(External Rotation Lag Sign)

극하근의 외회전 기능을 평가하는 테스트로, 견갑상신경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방법

- 환자는 팔꿈치를 90도 굽힌 상태에서 팔을 몸통에서 약간 떨어지게 합니다.

- 검사자는 환자의 팔을 완전 외회전(External Rotation) 한 상태로 유지한 후, 손을 뗍니다.

- 환자가 팔을 유지하기 못하고 원래 위치로 돌아오면 극하근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성 반응은 팔이 제자리로 돌아가거나 환자의 팔을 유지하지 못하면 극하근 약화 또는 견갑상신경 손상을 의심합니다.

 

 

극하근 테스트(External Rotation Lag Sign)1

 

 

 

극하근 테스트(External Rotation Lag Sign)2

 

 

 

5. 견갑골 안정화 운동(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우선 견갑골 안정화 운동에 대해서 먼저 간단하게 언급하고 그다음에 견갑골 안정화 운동 중에 효과적인 운동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견갑골 안정화 운동은 견갑골을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면서 어깨 근육의 균형을 맞추고 기능을 개선하는 운동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견갑골 주변 근육을 잘 사용하는 동작이 필요합니다. 그중에서도 회전근개와 승모근, 능형근, 전거근이 같이 강화가 돼야 합니다. 

 

회전근개는 견갑골과 상완골을 붙여주는 힘을 발휘하고 상지를 움직일 때 견봉에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당연히 강화가 필요하고 승모근, 능형근, 전거근은 견갑골의 회전과 견흉관절(scapulothoracic joint) 흉곽에 견갑골을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하는 근육들이기 때문에 강화가 필요합니다.

 

위 근육들을 동시에 쓰이게 하면서 운동을 시킬 수 있다면 효과적인 운동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단 강도의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강도를 조절해서 운동을 하면 되기 때문에 아래 두 가지 운동을 추천합니다.

 

1) 파이크 홀드(Pike hold)

 

 

 

pike hold를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파이크 홀드(Pike hold)

 

 

 

Pike hold는 위 그림처럼 박스에 발을 올려놓거나 바닥에 놓고 실시할 수 있습니다. 발의 위치로 강도를 조절해서 운동할 수 있습니다. 

 

# 운동 방법

- 어깨너비보다 약간 넓게 손을 바닥에 짚고, 다리는 엉덩이를 최대한 높이 들어 올려 삼각형 모양을 만듭니다.

- 손과 발은 고정된 상태에서 몸을 앞으로 밀어내듯이 유지합니다.

- 엉덩이는 정점으로 들어 올리고, 머리는 팔 사이에 둡니다.

- 팔꿈치를 살짝 굽혀 어깨와 팔의 긴장을 유지한체 복부에 힘을 주어 허리가 꺾이지 않도록 유지합니다.

 

 

파이크 푸쉬업을 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파이크 푸쉬업(Pike push up)

 

 

 

2) 파이크 푸시업(Pike push up)

# 운동방법

- 파이크 홀드와 같은 자세에서 시작합니다. 손을 어깨너비보다 약간 넓게 바닥에 둡니다.

- 다리는 엉덩이를 들어 올려 V자 형태(다운독 자세)로 만듭니다.

- 발은 어깨너비 정도로 벌리거나 완전히 모아줘도 됩니다.

- 팔꿈치는 가볍게 펴주고 머리는 손과 발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렬합니다.

- 그 상태에서 얼굴을 바닥 쪽으로 향하고 팔을 굽혔다 폈다를 반복합니다.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은 엄청 중요한 신경은 아니지만 어깨와 회전근개에 통증과 문제가 있는 경우 확인이 필요한 신경입니다. 오늘은 견갑상신경의 해부학과 테스트 그리고 견갑상신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견갑골 안정화 운동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견갑골 안정화는 견갑골 주변의 다른 신경들의 압박, 신경 자극들을 줄일 수 있는 굉장히 유용한 운동입니다. 한 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