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부학/근육48 흉쇄유돌근과 통증(두통, 이명, 감각이상)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흉쇄유돌근은 목 전면부에 가장 크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근육의 주요 기능은 두부를 회전시키거나 굴곡시키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흉쇄유돌근은 근육도 찾기 굉장히 쉽습니다.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면 흉쇄유돌근이 자연스럽게 툭 튀어나오게 됩니다. 이 근육은 척수부신경(spinal accessroy nerve)의 지배를 받는 근육으로 여러 가지 신경 이상 증상이 잘 나타나는 근육입니다. 기시 - 흉골두: 흉골병의 전면 - 쇄골두: 쇄골 내측 ½ 상면 정지 : 유양돌기(mastoid process of the temporal bone), 상항선(superior nuchal line) 작용 - 반대편 회전(편측성) - 경추 굴곡(양측성) 지배 신경.. 2022. 11. 29.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 두판상근 두판상근의 이름은 모양에서 따온 것입니다. 넓은 끈 모양이라고 해서 두판이란 이름이 정해졌고 대각선으로 두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근으로 불려집니다. 이 두판상근은 목과 상부 흉추에서 시작해서 후두부의 하부 바닥에 부착됩니다. 주로 두부의 회전과 신전에 관여하는 근육입니다. 기시 : 항인대(nuchal ligament) C3(C7)~T3 극돌기(spinous process) 정지 : 유양돌기(matoid process of temporal and occipital bone) 작용 - 경추 신전 - 측굴, 동측으로 회전(편측성) 지배 신경: C3~5, 척수신경 후지 두판상근의 양측의 근육이 수축을 하게 되면 두부를 신전시키게 됩니다. 편측의 수축을 하게 되면 근육이 수축하는 쪽으로 회전이 일어나게 .. 2022. 11. 28. 후두하근 (Suboccipital muscles) 후두하근 후두하 근육은 후두골 아래에 위치한 4개의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후두골과 경추 1번과 2번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두부를 움직이는 근육입니다. 이 근육들은 피라미드 모양으로 형성되고 4쌍의 작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대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ajor) 기시점: 2번 경추 극돌기 정지점: 후두골 - 소후두직근(Rectus capitis posterior minor) 기시점: 1번 경추 결절 정지점: 후두골 - 상두사근(Obliquus capitis superior) 기시점: 후두골 정지점: 1번 경추 횡돌기 - 하두사근(Obliquus capitis inferior) 기시점: 2번 경추 극돌기 정지점: 1번 경추 횡돌기 - 지배 신경 후두하 신경(suboc.. 2022. 11. 28. 중둔근[Gluteus medius]과 통증 중둔근 중둔근은 골반의 바깥쪽면에서 시작해서 대퇴골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둔부에 위치하고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 근육은 여러 가지 의미에서 중요한데 특히 고관절의 안정성과 골반의 틀어짐과 연관된 근육입니다. 약화되거나 이완되어있게 된다면 체형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근육이기 때문에 이 근육에 대해서 잘 알고 있으면 좋을 듯합니다. 기시점 : 장골능 배측 후둔선, 둔근 건막 정지: 대퇴골 대전자의 외측면 기능 - 주된 고관절 외전근입니다. - 중둔근은 지레의 팔(아래 그림에서 O와 T)에 대해서 거의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붙어 있기 때문에 역학적으로 효율이 매우 높습니다. - 중둔근의 앞쪽 부분은 고관절의 굴곡과 내회전을 시킵니다. - 중둔근 외전의 후방 부분은 고관절의 외회전과 외회전을 도움을 .. 2022. 8. 16. 요추 다열근[lumbar multifidus] 다열근은 요추부근육의 두 번째 층을 구성하는 척주의 양쪽에 위치한 일련의 작은 삼각형 근육 다발입니다. 요추 다열근(lumbar multifidus)이라고도 합니다. 다열근은 등을 펴고 척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약해지면 허리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열근의 해부학과 기능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다열근통의 원인과 요추 다열근을 강화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요추 다열근 해부학 요추 다열근은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심부 근육을 집합적으로 내재층이라고 합니다. 등 근육의 가로 척수(깊은) 층 위에는 표피층이 있습니다. 표면층은 외인성 근육 또는 "척추 기립근" 또는 간단히 척추 주위 근육이라고도 합니다. 다열근은 세로 방향으로 척추의 대부분을 따라.. 2022. 8. 10.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과 구조와 기능!! 기시 7~12st 갈비연골, 흉요추 근막, 장골능, 서혜부의 외측 1/3 정지 백선 작용 - 복부 장기의 압박과 지지 - 호흡운동 - 산모의 자궁 수축, 출산 지배 신경 T6~T11, L1, 늑하근 신경, 장골 하복 신경, 장골 서혜 신경 구조적 특징과 기능 - 복부 근육 중에서 가장 심부에 있는 근육입니다. - 체간 내부에 있는 장기를 포함하고 지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배 근육들 중에서 복횡근이 흉요추 근막에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고 복부 내압에도 관여도가 높습니다. - 위 그림은 요추부에 복횡근과 흉요추 근막이 만나는 곳에 요방형근(Quadraus lumborum)까지 같이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이 모든 구조물들이 요추의 횡돌기에서 모두 연결이 됩니다. 그로 인해서 복횡근 & 흉요추 근.. 2022. 8. 2. 횡격막 [diaphragm] 통증, 호흡 시 배가 아프다!! 횡격막 기시 - 검상돌기 후방 측면 - 7~12번 늑골 내측면 - 1~2번 요추(좌)/1~3번 요추(우) 정지 : 중앙 건 작용 - 가장 중요한 호흡근육으로 호흡 운동을 담당 흡기 시 하강(흉강 압력 감소) 호기 시 상승(흉강 압력 증가) - 횡격막의 수축을 수축시키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복부 내압을 상승시켜서 척추의 안정화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기능 - 대변, 소변을 배출하는 것과 출산을 돕는 기능을 같이 하고 있습니다. - 횡격막의 움직임(호흡)으로 흉강과 복강에 압력이 변화하면서 혈액과 림프 수송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 호흡 시 횡격막이 복강에 압력을 가해서 내장의 운동성을 증가시킵니다. 지배 신경 C3~5, 횡격막 신경(phrenic nerve) # 횡격막은 반구형의 근섬유 구조로 흉강과 .. 2022. 8. 1. 장요근(Psoas major muscle)의 근육 테스트와 촉진법(Palpation) 장요근이라는 말에는 아래의 3개의 근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장골근(Iliacus) + 대요근(Psoas major) & 소요근(psoas minor) = iliopsoas muscle 이 3 개의 근육을 따로 구분해서 부르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 분들이 이 근육들을 구분해서 알고 있는 경우도 없고 기능이 거의 같기 때문에 이 3 개의 근육을 통칭해서 그냥 장요근이라고 합니다. 그중에 가장 많이 알고 있고 가장 중요한 근육인 대요근(장요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요근(Psoas major) 해부학 Origin : T12-L4 횡돌기와 그들 사이의 디스크 측면 Insertion : 대퇴골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 of femur) Action : 고관절 굴곡(hi.. 2022. 7. 1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