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근육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 / 촉진 (턱관절 질환 & 통증)

by 지식 수집가! 2022. 12. 31.

목차

    반응형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

    외측익상근 또는 외측익돌근(lateral pterygoid)이라고 부르는 이 근육은 턱관절 근육 중에 하나로 입을 벌림(하악골의 하강)을 만드는 거의 유일한 근육(턱근육 중에서)입니다. 그러나 근육 자체가 입안 쪽에 존재하고 너무 심부에 있어서 정확하게 찾기는 굉장히 힘들고 또한 촉진도 쉽지가 않습니다. 턱관절 질환이나 턱 주변 통증에 관련이 많은 근육이라 조금 알아보겠습니다. 

     

    저작(음식물을 씹는 동작) 근육들은 총 4가지로 측두근, 교근, 내측익상근, 외측익상근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기시점(Origin)

    상부 섬유 : 접형골(sphenoid bone)의 측두하 표면

    하부 섬유 : 외측 익상판(lateral pterygoid plate)

     

    정지점(Insertion)

    상부 섬유 : 하악과(mandibular condyle)의 앞쪽

    하부 섬유 : 익상 와(pterygoid fovea)

     

    작용(Action)

    - 양측성 : 턱 전인(protrusion), 턱 하강(depression)

    - 편측성 : 반대편 편측 이동(contralateral excursion)[이 갈기 동작]

     

    신경(Innervation)

    하악신경으로 외측익상근의 분지

     

    외측&내측 익상근의 구조와 기능

    외측익상근은 2개의 부분(상부, 하부)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상부 섬유의 방향은 약간 전방, 상부, 내측을 향하고 있고 하부섬유전방, 약간하방, 내측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의 방향 때문에 상부 섬유는 턱을 앞으로 내밀고, 반대편으로 편측 이동을 시킵니다. 하부 섬유는 똑같이 턱을 내밀고 반대편으로 편측이동을 시키고 입을 벌리는 동작을 만들어 냅니다. 

     

     

    외측익상근과 내측익상근을 입안에서 보는 시각으로 나타낸 그림외측익상근의 상부 섬유와 하부섬유가 구분되어서 잘 나온 해부학 그림
    외측 & 내측 익상근의 섬유 방향

     

     

     

    위 오른쪽 그림에는 외측익상근의 상부 섬유와 턱관절의 디스크 원판이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입을 벌리면서 혹은 입을 앞으로 내밀 때 외측익상근의 하부 섬유의 수축이 일어나고 하악골의 관절융기를 잡아당기고 그 위에 있는 디스크 원판과 같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됩니다. 실제적으로 는 상부 섬유와 연결되어 있지만 상부 섬유는 입을 벌리 때 원판을 직접적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지 않습니다.

     

     

    입을 벌릴 때 외측익상근의 하부 섬유는 수축을 하고 상부 섬유는 수축을 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 그림입을 닫을 때 외측익상근의 상부 섬유는 수축을 하고 하부 섬유는 느슨해지는 것을 나타낸 그림
    입 벌리기와 닫기 중의 익상근의 수축

     

     

    저작근 4가지 근육에서는 외측익상근처럼 입을 벌릴 때 쓰이는 근육은 없고 보조해주는 근육들이 존재하는데 그 근육들은 이복근(digastric), 악설골근(mylohyoid), 이설골근(geniohyoid) 들이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하악골과 설골사이에 부착되는 근육들이고 설골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축을 하게 되면 하악골을 하강시켜 입을 벌리는 것을 돕는 근육들입니다. 

     

     

    악설골근과 이설골근을 입안에서 보는 그림하악과 목부위를 옆면에서 보는 그림으로 이복근이 잘 나타나 있는 해부학 그림
    입을 벌리는 보조근육(이복근, 악설골근, 이설골)

     

     

    위의 근육들을 입을 벌리는 근육 설골의 위에 붙어 있는 근육으로 설골상근이라고 분류됩니다. 반대로 아래에 있는 설골하근들은 아래의 포스팅에 정리하였습니다. 같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https://gseek-storage.tistory.com/entry/%EC%84%A4%EA%B3%A8%EA%B7%BC%EA%B3%BC-%EC%84%A4%EA%B3%A8-%EC%A6%9D%ED%9B%84%EA%B5%B0

     

    설골근과 설골 증후군

    설골 (Hyoid bone ) 설골은 인체의 다른 뼈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관절 연결이 없는) 유일한 뼈입니다. 혀와 하악의 뿌리와 갑상선 연골 사이에 있는 U 자형 구조입니다. 설골은 혀와 혀의 다양한

    gseek-storage.tistory.com

     

     

    외측익상근의 촉진

    외측익상근은 입 안에 있는 근육이라 입 밖에서는 촉진이 되지 않습니다.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고, 장갑을 끼고 촉지를 위해서 압안 쪽 볼과 치아 사이에 넣고 윗치아의 바깥면을 따라 뒤쪽의 어금니가 닿을 때까지 집어넣습니다. 그런 다음 위치아의 잇몸과 아래턱뼈의 돌기 사이 조직 내에 작은 주머니 안까지 후방과 위쪽방향으로로 누릅니다. 

     

    입안에 손가락을 넣은 상태에서 환자에게 아래턱을 반대편으로 움직이게 해서 손가락이 더 잘 들어가게 만듭니다. 그런 다음 촉지하면 더 쉽게 촉지 할 수 있습니다. 

     

     

    외측익상근을 촉지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입 안에 넣고 촉지하는 사진외측익상근의 촉지를 위한 입압에서 손가락을 넣은 사진
    외측익상근의 촉지

     

     

    외측익상근과 연관통

     

     

    외측익상근의 연관통부위를 나타낸 그림, 관골과 귀 사이에 외측익상근의 상부섬유 한곳, 하부섬유 한곳에 통증유발점이 있고 뺨부위와 귀 앞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그림
    외측익상근 통증유발점과 연관통

     

     

    외측익상근의 통증유발점은 상부 섬유와 하부 섬유에 각각 존재하고 통증은 관골부위(동측 얼굴 부위)와 귀 바로 앞 부위에 발생합니다. 입을 벌릴 때, 작용하는 외측익상근은 입을 닫을 때 쓰는 근육들보다 근방추체를 적게 가지고 있어서 통증유발점이 가장 쉽게 생기는 근육이라고 합니다. 

     

    턱관절 기능 장애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환자들은 일차적으로 근육의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외측익상근의 문제가 발생하면 통증이 턱관절 부위로 방사가 잘 일어나고 짧아지게 되면 부정교합(한쪽 근육이 짧아지면 편측이동을 하게 되므로)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턱관절의 질환을 일어나게 하는 원인으로는 이를 가는 습관(수면 중에), 턱을 괴고 앉는 습관, 엎드려 자는 습관으로 인해 턱이 한쪽으로 밀려있는 자세가 지속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