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근육

근육학 & 촉진/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by 지식 수집가! 2022. 12. 29.

목차

    반응형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두판상근의 Splenius의 어원은 넓은 끈 모양 또는 붕대라는 의미의 그리스어에서 뜻이 유래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길고 평평한 끈 같은 모양의 근육입니다. 목 뒤에 있는 근육으로 경추 & 흉추에서 시작해서 후두골 아래쪽에 붙습니다. 기본적인 움직임은 머리를 움직일 때 쓰는 근육입니다. 

     

    두판상근과 경판상근의 기지 정지점이 나와 있는 그림으로 8번이 두판상근을 나타내고 있음.
    8번 -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기시점(Origin)

    C3 - T3 극돌기 (

     

    정지점(Insertion)

    유양돌기(mastioid process)[측두골 & 후두골], 상항선(lateral superior nuchal line)

     

    후두골의 아래면에서 보는 그림으로 뼈에 나와있은 상항선을 보여주기 위한 그림
    상항선(superior nuchal line)

     

     

    동작(Action) 

    동측 수축 - 머리와 목에서의 신전 

    편측 수축 - 수축하는 근육 쪽으로 측굴과 동측으로 머리 회전

     

    신경(Innervation)

    C1~C6 신경의 후방가지 [C3~C4]

     

    신체의 단면으로 신경의 후방가지(dorsal ramus)를 나타낸 그림.
    신경의 후방가지(dorsal ramus)

     

    근육의 전체적인 모양은 아래의 그림처럼 척추뼈에서 대각선으로 올라가 후두골 바깥쪽 라인의 상항선에 부착됩니다.

     

    두판상근의 해부학적인 그림으로 기지와 정지점이 잘 나와있는 사진.두판상근의 해부학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더 자세한 두판상근을 나타낸 그림.
    두판상근

     

    두판상근의 촉진

    두판상근의 촉진은 쉽지는 않습니다. 이유는 가장 표층에 존재하는 근육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두판상근의 상부 근육(정지점에 가까운 근육)은 부착지점이 두개골에 있는데 흉쇄유돌근에 의해서 덮여 있습니다. 그리고 두판상근의 하부 근육은 많은 면이 상부 승모근에 의해서 덮여 있습니다. 

     

    후두골에 부착되는 근육들을 나타낸 그림, 노란색 박스로 두판상근을 나타냈음.
    두판상근과 주변근육의 부착 부위

     

     

    경판상근을 촉진하는 방법이 나와 있는 그림으로 환자는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있고 가볍게 신전을 하고 검사자는 저항에 손으로 막고 두판상근의 수축을 확인엎드려 있는 환자의 두판상근을 촉진하기 위해서 상부 승모근을 젖히고 안쪽으로 손가락을 넣고 있는 그림
    두판상근의 촉진법

     

     

    두판상근을 찾기 위해서는 우선 후두골 아래와 유양돌기(귀 바로 뒷부분) 근처에서 찾아야 합니다. 환자는 앉은 자세에서 머리를 촉지 하고 싶은 근육 쪽과 같은 방향으로 돌리라고 하고 검사자는 환자의 뒤에 서서 후두골 부위에 손을 놓습니다. 한 손으로는 환자에게 가볍게 회전한 상태에서 신전을 지시하고 손으로 촉지 합니다. 그러면 근육의 수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확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지시해서 다른 근육들과 구분해서 찾아야 합니다. 

     

    이때 상부승모근의 가장 바깥쪽 경계면을 찾고 거기서 약간 더 외측으로 그리고 후두골과 유양돌기 주변에서의 수축을 확인하면 그곳이 두판상근의 정지부입니다. 흉쇄유돌근이 두판상근을 덮고 있지만 흉쇄유돌근의 수축이 일어나려면 반대편으로 머리를 돌려야 하는데 동측 회전이기 때문에 흉쇄유돌근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바로 아래 있는 두판상근을 촉지 할 수 있습니다. 

     

    두판상근과 두통

    두판상근은 정수리에 나타나는 두통과 연관이 있습니다. 상부승모근의 위 경계부분과 두판상근의 교차하는 부위에 통증유발점이 잘 생기며 통증은 동측의 두정부(정수리)에 많이 나타납니다. 이러한 두통을 나타내는 근육으로는 목 근육, 저작근육이 있습니다. 

     

     

    두판상근의 통증유발점을 나타낸 그림
    두판상근의 통증 유발점

     

     

    또한 교통사고 같이 머리가 갑자기 앞뒤로 크게 흔들리면 머리와 목 뼈를 보호하기 위해서 강제로 목근육이 수축하게 됩니다. 다시 말하면 머리와 목뼈가 크게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목 주변부의 근육들이 대신 다쳐주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은 일반적인 근육 통증도 나타내지만 2차적으로 통증 유발점을 발생시키고 활성화시켜 두통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가 나면 전방부의 목 근육은 94%가 손상을 입고, 후방은 77%, 측면은 75%가 손상을 당하게 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