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둔근(gleteus maximus)
대둔근은 3개의 둔부 근육 중 가장 크고 가장 바깥쪽에 있는 근육으로 가장 강력한 둔부 근육 중에 하나입니다. 대둔군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으로는 두 다리로 서 있고 걷는데 기본적으로 쓰이고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근육입니다. 천장관절과 고관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대둔근의 이상은 골반과 고관절 문제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대둔근에 대해서 여러 정보를 여기저기서 모아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 글은 보행과 관련된 근육들 중에 대둔근의 쓰임이 나와 있는 글입니다. 같이 보셔도 좋을 거 같습니다.
대둔근의 해부학
대둔근은 기시점과 정지점이 조금 복잡합니다. 근육이 워낙 크기 때문에 기시하는 점도 넓고 정지하는 점도 넓습니다.
기시점(origin) : 대둔근의 상부 섬유는 장골의 후둔선(posterior gluteal line of ilium)과 장골의 후면 부위에서 시작합니다. 하부 섬유들은 천결절인대(sacrotuberosity ligament), 천골 후면(sacrum)과 중둔근과 기립근의 근막에서 기시 합니다.
- 대둔근의 기시점은 동측의 다열근, 반대 측의 흉요추근막과 연결되어 있어 후방사선 및 심부 세로 근막 슬링을 형성합니다.
정지점(insertion) : 대둔근의 근육 섬유는 대퇴골 상단을 향해 아래쪽과 뒤쪽을 통과하고 삽입 지점에 접근함에 따라 두 개의 층으로 형성합니다. 더 큰 상부 섬유는 장경인대(IT band)와 연결하게 됩니다. 대둔근 하부 섬유는 깊은 층에 속하는데 외측광근과 대내전근 사이의 대퇴 둔부 결절(gluteal tuberosity)에 부착합니다.
대둔근의 기능
대둔근의 기능이라고 하면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기능과 근육 자체의 해부학적 기능이 있습니다. 두 가지 중에 해부학적인 기능만 정리해 보겠습니다. 근육이 크기가 크고 기시-정지점이 넓기 때문에 다양한 움직임이 나오는 듯합니다. 대둔근은 장골에서 대퇴골까지의 연결을 하는데 이 근육의 수축은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은 천장관절과 고관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대둔근의 정지점(대퇴골)이 고정된 상태에서 수축이 일어나면 기시점(장골)이 정지점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러한 수축이 일어나면 골반은 후방 회전(posterior tiling)이 일어나게 됩니다. 대둔근의 약화가 일어나면 골반의 전방회전이 될 확률이 높다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다른 근육들의 상태도 검사해야 하지만 여기서는 대둔근의 기능만 쓰겠습니다.
대둔근은 굉장히 큰 섬유를 가지고 있고 상부 섬유(바깥쪽 섬유), 하부 섬유(깊은 섬유)로 나눠져 있습니다. 각 섬유별로 조금씩 기능의 차이가 있어서 구분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 고관절 신전(extension)
대둔근의 섬유 방향이 대체적으로 내측이 높고 바깥쪽이 낮은 대각선 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기본적으로 신전에 대한 힘이 가장 크게 나타납니다. 고관절 신전을 같이 하는 근육들은 햄스트링(hamstring)과 대내전근(addutor magnus)의 수직 섬유와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대둔근의 약화는 햄스트링과 대내전근의 과사용을 일으켜서 근육 불균형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고관절 외회전(lateral rotation)
대각선 섬유이기 때문에 수축을 하게 되면 고관절 외회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 상부 섬유(upper & superficial fiber)
- 고관절 외전(abduction)
상부섬유는 IT band와 연결되어 있고 대퇴골 대전자를 지나서 정지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축을 하게 되면 고관절 외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또한 과도한 경직이 일어나면 IT band에 자극을 주게 되어 무릎 외측 통증, 슬개골 외측으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하부 섬유(lower & deep fiber)
- 고관절 내전(adduction)
하부 섬유는 대퇴골의 둔부 결절에 부착되어 있어서 수축을 하게 되면 고관절 내전힘을 나타냅니다. 역시 내전근들과 상호작용을 하기 때문에 내전근의 경직은 대둔근 하부 섬유의 약화로 나타나게 되고 반대의 경우도 발생합니다.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 & 견갑골 안쪽 통증과 능형근 해부학! (0) | 2023.04.05 |
---|---|
대내전근(adductor magnus)의 기능! (0) | 2023.03.13 |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 / 촉진 (턱관절 질환 & 통증) (0) | 2022.12.31 |
근육학 & 촉진/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0) | 2022.12.29 |
복근 해부학(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0)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