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

설골근과 설골 증후군

by 지식 수집가! 2022. 9. 27.

목차

    반응형

    설골 (Hyoid bone )

    설골 인체의 다른 뼈와 직접적인 접촉이 없는(관절 연결이 없는) 유일한 뼈입니다. 혀와 하악의 뿌리와 갑상선 연골 사이에 있는 U 자형 구조입니다. 설골은 혀와 혀의 다양한 움직임을 위한 움직일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고 많은 근육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됩니다. 

     

    설골의 위 & 아래에 있는 근육들은 해부학적으로 저작근육과 연결되어 저작에 관여하는 이차성 근육들이 됩니다. 이 근육들에 의해서 발생된 힘은 직 & 간접적으로 하악에 전달됩니다. 설골하근의 활성화에 의한 설골의 안정과 함께, 설골상근은 하악의 하강을 보조합니다.

     

    설골과 갑상연골의 그림
    설골

     

     

    설골하근군(목 뿔 아래근 infrahyoid muscles) 

    설골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adam's apple아니라 그것보다 조금 더 위에 존재합니다. 툭 튀어나와 있는 것은 갑상연골 (Thyroid cartilage)이고 그 위에 조금 딱딱한 뼈가 만져집니다. 설골하근군은 이름 그대로 설골과 쇄골, 흉골, 견갑골을 연결시켜주는 설골 아래에 위치한 근육들을 말합니다. 이 근육들은 갑상선을 기준으로 전외측에 위치합니다.

     

    설골과 갑상연골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
    설골 & 갑상연골

     

     

    주기능들은 음식물 섭취, 저작, 발성 동안 설골의 움직임에 연관되어 있습니다. 설골에 부착하는 근육이 손상되면 가끔 목에서 쉰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설골하근군은 총 표층 2개 흉골 설골근(sternohyoid muscles), 견갑 설골근(omohyoid) 심층 2개 흉갑 상선근 (sternothyroid), 갑상선 설골근 (thyrohyoid muscles)으로 나뉩니다.

     

    설골하근의 근육들의 위치 설명 그림
    설골하근

     

     

    흉골 설골근(Sternohyoid muscle) 

    기시(origin) : 흉골 뒤쪽 표면, 쇄골의 안쪽 맨 끝부분, 후면 흉쇄 인대(posterior surface of sternum, inner extremity of clavicle, and posterior sternoclavicular ligament)

     

    정지(Insertion) : 설골의 아랫부분 (lower border of the hyoid)

     

    동작(Action) : 후두와 설골을 내림

    설골을 고정시키거나 내리고, 발성을 할 때와 음식물을 삼켜 넘기기가 끝날 때 설골과 후두를 하방을 잡아당깁니다.

     

    신경(Nerve) : 설하 신경[hypoglossal nerve(XII)], ansa cervicalis(C1, C2, & C3 motor nerve 운동신경)

     

    경추 신경 분지하는 각 신경들이 어느 부위를 담당하는지 보여주고 목 신경중 운동신경(ansa cervicalis)가 설골하근을 담당하는 그림
    설골하근과 신경


     

    견갑 설골근 (Omohyoid muscle)

    기시(origin) : 겹갑골의 위쪽 경계

     

    정지(Insertion) 

    상부 섬유 : 설골 하부 섬유 :  견갑 설골근 중간 힘줄

     

    동작(Action) : 후두와 설골을 압박하고 설골을 측면과 후방으로 이동 시킴

     

    신경(Nerve) : ansa cervicalis(C1, C2, & C3 motor nerve 운동신경)

     

    흉갑 상선근 (Sternothyroid muscle)

    기시(origin) : 흉골(Manubrium)

     

    정지(Insertion) : 갑상선 연골(Thyroid cartilage)

     

    동작(Action) : 갑상선 연골을 아래로 당김

     

    신경(Nerve) :  ansa cervicalis(C1, C2, & C3 motor nerve 운동신경)

     

    갑상선 설골근 (Thyrohyoid muscle)

    기시(origin) : 후두의 갑상선 연골

     

    정지(Insertion) : 설골

     

    동작(Action) : 갑상선을 위로 올리고, 설골은 아래로 당깁니다. 

     

    신경(Nerve) : 설하 신경(Xll), 설하 신경을 통한 제1 경추 신경 (C1)

     

    설골 증후군(Hyoid bone syndrome)

    설골 증후군은 1954년 Brown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습니다. 이 증상은 경동맥통과 비슷하여 헷갈릴 수 있습니다.

    1. 설골하근군의 신경 압박
    2. 거북목 또는 상추 경추의 틀어짐으로 인한 구조적 문제
    3. 설골에 연결된 근육 문제

    설골하근군의 신경들은 대부분 C1 ~ C3 운동신경이고 그 주변 조직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들은 대부분 Erb’s point(흉쇄유돌근 하부 ⅓ 지점)에서 나옵니다. C1 ~ C3의 신경들은 두부와 경추의 틀어짐(subluxation)으로 신경 압박이 일어나면 설골하근들의 운동 기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에서 나오는 신경이 목 주변부 근육들을 지배하는 그림
    목신경의 분포

     

     

    이러한 신경들은 반복적인 전방 두부 자세(forward head position)로 인해 흉쇄유돌근이 경직되고 Erb’s point에서 나오는 여러 신경들을 압박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얼굴과 목 부위의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전방두부자세로 인해 하악골이 아래 & 후방으로 움직이고 이 때 설골도 설골하근의 경직으로 아래방향으로 당겨지는 그림
    전방두부자세와 설골

     

     

    설골 주변 근육들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근육 경직이 장기화되면 근육 단축으로 진행되고 그로 인해 설골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변화된 설골의 위치로 인해서 단축된 근육은 더욱 단축되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습니다. 

     

    설골과 근육으로 연결된 부위를 표시하는 그림
    설골과 연관있는 부위

     

     

    설골 증후군의 증상이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두부 쪽 통증으로는 보통 인후, 하악, 아래 치아, 광대뼈, 얼굴, 턱관절, 관자놀이 쪽으로 방사되고, 목 쪽으로는 목의 전면부, 쇄골부, 가슴 상부, 어깨와 상완까지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설골하근의 운동법

    설골하근은 음식을 섭취하거나 고개를 숙일 때를 제외하고는 잘 쓰이지 않는 근육입니다. 자세적으로 두부 전방 자세를 취하면 근육 경직으로 인한 약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약화가 발생하면 음식물 씹고 삼키는 힘이 떨어지게 됩니다.

     

    목 근육 운동은 머리띠를 하고 그 띠에 무게를 달아서 버티거나 고개를 움직이는 방법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강도도 적절치 못하고 목 근육을 운동하는 일반인이 없기 때문에 다른 목 근육 들을 과도하게 쓸 수도 있습니다. 강도는 낮추고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을 해야 하는데 그런 운동 방법이 누워서 발끝 보기입니다.

    케이블로 목 굴곡 운동 하는 사진
    케이블 목 굴곡 운동
    머리에 덤벨을 달고 목운동 하는 사진
    덤벨 목 운동

    이러한 운동법을 Shaker 운동이라고 하고 방법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어깨가 바닥에 닿게 하고 머리만 들어서 발끝을 쳐다보는 방법입니다. 이때 목 앞쪽의 근육들이 수축을 하고 설골과 후두를 앞 위 방향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이러한 운동의 장점은 운동 강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설골상근, 설골하근의 강화와 상부 식도를 조이는 근육의 열림 작용에 도움을 주고 삼킴 후 음식 잔여물을 감소시켜 기도로의 음식물 흡인의 위험도도 감소시킵니다 (Shaker et al. 2002).

     

    누워서 고개를 들어 발끝을 보는 사진
    Shaker 운동

     

     

    샤케어 운동법 순서

    1. 바닥에 바로(supine) 눕습니다.
    2. 바로 누운 상태에서 고개만 들어 자신의 발끝을 봅니다.
    3. 30초 ~ 1분 중 할 수 있는 시간 동안 발을 봅니다. (이때 30초도 힘들다면 환자의 능력에 맞게 조절해서 시간을 짧게 하고 횟수를 늘려줍니다.)
    4. 1분 휴식하고 다시 30초 ~ 1분간 발을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