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대내전근(adductor magnus)은 허벅지 안쪽에 존재하는 가장 크고 강력한 내전근입니다. 내전근은 단내전근, 장내전근, 대내전근, 치골근, 박근 이렇게 5가지를 통칭해서 내전근이라고 하는데 그중에 가장 크고 강력한 내전근임에도 불구하고 잘 다루지 않는 거 같아서 오늘은 대내전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내전근의 생김새는 넓고 평평하고 골반에서 대퇴골까지 연결되어 있는 근육으로 이 근육은 2개의 파트로 나눠져 있습니다.
[내전근 파트]
- 비슷한 말로 adductor part(내전근 섬유), pubofemoral part
기시점 : 치골과 좌골에 부착이라 약간 앞쪽에 부착되어 있어 굴곡과 내회전이 가능합니다.
정지점 : 대퇴골 근위부 후방면 linea aspera
[햄스트링 파트]
- ischiocondylar prat (hamstring part)(햄스트링 섬유)
기시점 : 좌골 조면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고관절 신전과 외회전이 가능합니다.
정지점 : 대퇴골 내측상과 내전결절(adductor tubercle)
- 고관절 각도에 따라 변하며 햄스트링이나 대둔근보다 더 효과적인 고관절 신전근입니다.
삼각근처럼 3가지 움직임이 가능
골반에 있는 대내전근의 부착은 견갑골, 견봉 및 쇄골의 척추에 있는 삼각근의 부착과 같습니다. 두 근육 모두 볼&소켓 관절(각각 어깨 또는 고관절)의 동적 안정 장치 역할을 합니다. 각 섬유의 쓰임에 따라서 완전히 반대의 동작이 나오게 됩니다.
대내전근과 골반과 하지의 움직임
골반이 좌측으로 빠져 있는 상태가 된다면 좌측 중둔근이 약해서 일 것입니다. 트렌델렌버그 테스트를 하거나 보행을 시켜봐도 알 수 있습니다. 그 상태에서 대내전근의 상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좌측 골반의 편측 이동은 좌측 중둔근의 약화가 발생하면 대퇴골은 내전상태가 될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우측 대퇴골은 외전 상태가 되고 좌측 중둔근 대신 일을 해야 하니 우측 중둔근의 경직이 생길 것입니다. 좌측 내전근이 경직이 될 때 위에서 말씀드린 대내전근의 내전근 파트(pubofemoral part 내회전)에 단축이 일어나는지 또는 햄스트링 파트(ischiocondylar prat 외회전)에서 단축이 일어나는지에 따라서 대퇴골의 회전이 정해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당연히 다른 둔부에 있는 외회전 근육들 허벅지 근육들도 많은 작용을 하겠지만 내전이 일어나 있는 상태의 고관절이라면 내전근의 단축이 일어나 있을 것이고 내전근의 각 파트의 회전력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육이 짧아져서 골반과 대퇴골의 움직임이 발생할 수도 있고 반대로 골반과 대퇴골의 변화로 인해서 근육의 경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골반 후방회전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대퇴골의 외회전이 일어나고 이때는 대내전근의 햄스트링 파트가 짧아져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골반 전방회전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대퇴골은 내회전이 일어날 것이고 대내전근의 내전근 파트가 짧아졌을 것입니다. 당연히 법칙처럼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골반과 대퇴골의 움직임과 대내전근의 수축은 이렇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근막경선해부학에서는 대내전근을 3가 파트로 구분합니다. 최상부는 지배하는 신경자체가 다르기 때문에(obturator nerve) 근막의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나누고 있습니다. 중간부위는 약간의 사선근육으로 대퇴이두근 단두와 연결되는 근육을 말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파트는 수직으로 떨어지는 대내전근의 햄스트링 파트를 말합니다.
예전에는 대내전근을 중요하다고 생각한 적이 별로 없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일을 하고 큰 근육이라서 조금 더 세심하게 봐야 할 거 같습니다. 대내전근은 굴곡, 신전, 내전, 내회전, 외회전 이 많은 움직임에 관여하면서 고관절의 안정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근육이기 때문입니다.
'해부학 > 근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거근(serratus anterior)의 통증 원인과 운동법 (1) | 2023.04.08 |
---|---|
등 & 견갑골 안쪽 통증과 능형근 해부학! (0) | 2023.04.05 |
대둔근(Gluteus maximus)의 해부학 (0) | 2023.03.04 |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 / 촉진 (턱관절 질환 & 통증) (0) | 2022.12.31 |
근육학 & 촉진/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