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골반 전방 회전
골반은 다양한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전방 회전(anterior tilting), 후방 회전(posterior tilting), 골반 상방 변위(upslip), 골반 하방 변위(downslip), 골반 벌어짐(out-flare), 골반 모임(in-flare)이 6가지 움직임이 실제로도 발생합니다. 실제로 발생하는 움직임의 크기는 크지 않지만 일어나고 있습니다. 또 그 움직임이 고착화되기도 합니다. 그로 인해 구조적인 문제, 기능적인 문제, 통증 등 다양한 일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병원, 헬스장, 필라테스 센터 등에서 치료를 받거나 운동을 하게 되면 항상 듣는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골반이 틀어졌습니다. 골반이 전방 회전되었습니다. 후방 회전되었습니다."
골반이 틀어진 것에 대해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많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은 골반의 변위 중에 전방 회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방 회전이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이고 그렇게 되는 이유들은 무엇이고 그것을 해결하고자 한다면 무엇을 알고 있어야 해결할 수 있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골반의 구조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교과서적으로 '골반뼈의 모양은 이렇고, 천장관절의 구조는 이렇다.'는 것은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마다의 모양이 다르니 항상 체크를 해야 합니다.
골반 전방 회전의 의미
1. 골반 전체가 앞으로 회전되었다는 것
골반 구조물 전체가 앞으로 회전한 상태를 말합니다. 장골, 좌골, 치골을 하나로 보고 골반의 위쪽을 기준으로 앞으로 회전한 상태(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골반이 전방 회전하였다고 합니다. 유연성이 좋은 분들이나 허리 근육이 과도하게 강하거나 혹은 다리 근육(대퇴직근)이 강하여 양측 골반을 동시에 전방 회전시키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도 허리나 골반 부위에 문제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천골은 제외하고 장골(ilium)만 전방 회전
골반뼈(장골) 좌우가 같이 움직이지 않고 한쪽만 전방으로 회전한 경우, 그로 인해서 좌측과 우측 장골이 서로 반대로 움직이는 경우를 한쪽 골반이 전방 회전되었다고 말합니다. 예) 좌측 장골은 전방 회전하고 우측 장골은 가만히 있거나 후방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전방 회전을 일으키는 원인들
1. 일차적인 움직임
장골(ilium)에 붙어 있는 근육이나 장골에 연결되어 있는 신체 구조물로 인해서 전방 회전이 일어나는 경우를 뜻합니다.
1) 근육
- 장골근(iliacus muscle)
장골근은 장골 내측면에 붙어서 대퇴골 소전자에 붙기 때문에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하지 고정) 골반이 전방 회전을 하게 됩니다.
- 척추기립근[다열근(multifidus), 최장근(iliocostalis, 장늑근(longissimus), 극근(spinalis)]
이 근육들이 수축하게 되면 천골을 위로 잡아당기고(요추 고정) 앞쪽으로 회전을 시킵니다. 또한 척추기립근들의 수축은 요추를 신전시키게 되고 그로 인해서 천골이 앞으로 밀리고 회전하게 됩니다.
- 대퇴직근, 대퇴 근막 장근, 장경인대 복합체
대퇴직근은 AIIS에 부착해서 경 골조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하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축하게 되면 강력한 힘으로 골반을 전방 회전시키게 됩니다.
2) 다리뼈의 움직임
- 다리의 신전(다리를 뒤로 펴는 동작)
다리를 뒤쪽으로 펴게 되면 대퇴골두는 미끄러짐과 구름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때 고관절 인대와 관절낭에 의해서 신전이 억제되고 골반(장골)이 같이 움직이게 됩니다.
- 보행 시 입각기(stance phase) 말기 다리
보행을 하게 되면 한쪽 다리는 뻗게 되고 반대편 다리를 뒤에 있게 되는데 뒤에 있는 다리를 기준으로 다리는 신전 상태이고 보행 주기로는 입각기 말기가 됩니다. 이때 뒤에 있는 다리는 위의 그림과 같이 대퇴 신전과 동일한 자세를 갖게 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대퇴골의 움직임 발생하고 장골의 전방 회전이 일어납니다.
- 다리 길이 차이(LLD : leg length different / leg lenth discrepancy)
구조적인 다리 길이는 보상작용으로 골반의 높이의 차이를 만들고 기능적인 다리 길이 차이도 마찬가지로 골반의 높이 편차를 만들게 됩니다. 그로 인해서 골반이 회전을 하게 됩니다. 이때 다리 길이가 길면 다리뼈가 골반을 위로 밀게 되고 대퇴골두와 골반의 비구(acetabulum)가 결합하는 부위가 골반에 약간 앞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후방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다리 길이가 짧게 되면 다리뼈가 골반을 아래로 잡아당기면서 골반을 전방 회전하게 만듭니다.
2. 이차적인 움직임
- 직접적으로 골반을 움직이지는 않지만 간접적으로(어떤 신체 구조물을 통해서) 골반을 전방 회전시키는 것을 뜻합니다.
1) 발 내회전(pronation)
발의 내회전이 일어나면 아주 많은 일들이 일어납니다. 가장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어떤 이유로 인해서 발의 아치가 무너지고 발이 과도한 내회전이 발생하면 바로 위에 있는 경골과 비골이 내회전이 일어나고 대퇴골 역시 내회전이 일어나게 됩니다. 대퇴골이 내회전이 되면서 대퇴골두로 골반의 비구를 뒤쪽으로 밀어버리게 됩니다. 그러면 골반은 전방 회전이 일어납니다.
2) 대퇴골 내회전을 일으키는 근육의 과활성
위 그림처럼 대퇴골이 내회전이 일어나면 똑같은 경로로 골반을 전방 회전시키게 됩니다. 대퇴골을 내회전 시키는 근육들은 (아래 그림) 노란 선 앞에 위치해야 내회전을 일으킬 수 있고 노란 선 보다 뒤쪽에 기시점(origin)을 가지고 있는 근육들은 내전 혹은 외회전을 일으킬 수 있고 내회전을 시키더라도 그 힘이 미비합니다.
내회전을 일으키는 근육들은 중둔근(앞쪽 섬유), 소둔근 (앞쪽 섬유), 치골근(pectineus), 박근(gracilis), 장내전근(adductor longus), 단내전근(adductor brevis)이 있습니다.
3) 대퇴골 신전을 일으키는 근육의 과활성
위에서 언급했듯이 대퇴골의 신전은 골반을 전방 회전시키게 됩니다. 그러면 대퇴골을 과도하게 신전시키는 근육의 경직이나 과활성은 골반을 전방 회전시키려는 힘이 발생하게 될 것입니다. 이 근육들의 경직으로 골반의 전방 회전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대퇴골 신전 근육들이 경직이나 과활성을 하게 되면 좌우를 비교했을 때 조금 더 전방 회전을 하게 됩니다.
대퇴골 신전 근육들은 대둔근(gluteus maximus), 중둔근 (후섬유) 소둔근(후섬유), Hamstring (대퇴 이두군, 반건양근, 반막양근), 보조 신전근으로는 대내전근(adductor magnus)이 있습니다.
4) 장요근(psoas major)
장요근의 수축(하지 고정 : 기시점 요추뼈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김)은 골반을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는 일은 없지만 요추를 전방 & 하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연결되어 있는 천골을 앞으로 회전시키고 다시 골반 전체가 앞으로 회전하게 됩니다.
5) 발이나 다리의 충격
- 자동차 사고 시 대시보드에 무릎 충격을 주거나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발에 충격이 가해지면 앉아 있는 상태에서 대퇴골이 골반의 아래쪽을 강하게 뒤로 밀게 됩니다. 그러면 골반은 전방 회전을 하게 되는데 충격이 강해서 골반이 틀어진 상태로 머물게 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보행 시 발 뒤꿈치가 바닥에 강하게 닿으면 충격으로 골반이 전방 회전하는 힘을 갖게 됩니다.
- 상체가 앞으로 숙여진 상태로 넘어지면서 무릎을 바닥에 부딪히면 역시 골반이 전방 회전합니다.
- 스포츠 경기 중에 점프를 하고 불안정하게 한쪽 발로 착지를 하게 되면 골반이 전방 회전합니다.
이외에도 카운터뉴테이션(counternutation)과 카운터뉴테이션 근육(장골미골근, 좌골미골근, 치골미골근)들도 있지만 전방 회전을 시키는 힘이 미비해서 제외했습니다.
보행 중의 골반의 움직임과 천장관절의 움직임은 아래에 링크로 가셔서 참고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반 전방 회전 교정법 (2) | 2022.12.03 |
---|---|
골반 후방 회전 [Pelvic posterior tilting] (2) | 2022.11.22 |
보행과 골반의 움직임(Feat. 천장관절) (2) | 2022.10.11 |
고관절 인대 [hip joint ligament] (0) | 2022.09.28 |
정강이 통증! 정강이 부목! (0) | 2022.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