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근육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기능과 움직임, 그리고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한 해부학적 특징들!!

by 지식 수집가! 2025. 1. 31.

목차

    반응형

    장무지신근은 기능적으로 일반저긍로 심도있게 다뤄지는 근육이 아닙니다. 우선 발 근육에 대해서 관심이 별로 없고 큰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더더욱 관심에서 멀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발목과 발가락을 들어 올리는(배측굴곡) 근육 중에 하나이고 신경압박이 있는지 확인하는 근육으로도 쓰이고 발의 변형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다양한 방향에서 장무지신근에 대해서 접근해서 그 정도를 조금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쓰려고 합니다.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기시점 : 경골과 비골 골간막(Interosseous membrane), 비골의 내측면에 부착됩니다. 엄지발가락쪽에 부착되어 있을 거 같지만 실제로는 약간 외측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정지점 : 엄지발가락 원위 지절골(Base of the 1st distal phalanx), 단근과 장근 중에 장근들은 단근보다 멀리 부착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근들은 손가락 끝, 발가락 끝 쪽에 부착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엄지발가락 신전근도 역시 엄지발가락의 원위 지절골에 부착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기능 : 엄지발가락 신전, 발목 배측굴곡(dorsiflexion), 비골과 골간막 중간 부위에서 시작해서 엄지발가락 원위 지절골에 부착하기 때문에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발목의 배측굴곡과 동시에 엄지발가락을 신전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합니다. 당연히 엄지발가락을 신전시키는 힘이 더 강력하고 발목 배측굴곡 기능은 보조적인 역할이 더 큽니다.

     

    신경 :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L5, S1 / 비골신경 중에 정강이 앞쪽으로 그리고 약간 심부로 진행하는 신경으로 전경골근과 장지신근, 장무지신근을 담당하는 신경입니다.

     

     

     

    엄지발가락 근육의 기시점과 정지점이 잘 나와 있는 그림
    장무지신근의 기시점과 정지점

     

     

     

     

    장무지신근의 특징

    장무지신근에 대한 정보 자체가 많지는 않습니다. 손과 발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부위들보다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인지 연구결과가 많지는 않습니다.  

     

    우선 보행 측면에서 장무지신근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행 중 제 1중족지절 관절에서 장무지신근은 발목과 엄지발가락을 배측굴곡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보행에서 발가락의 배측굴곡 특히 엄지발가락의 배측굴곡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됩니다. 체중이 실리고 발이 지면에 닿게 되면 엄지발가락에서 균형을 잡기 위해서 굴곡근과 신전근이 적절하게 쓰여야 하는데 만약 엄지발가락 굴곡근과 엄지발가락 신전근이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좌우로 흔들림 또는 추진력(toe off에서)이 떨어지게 됩니다.

     

    엄지발가락 신전이 다양한 이유로 인해서 잘 일어나지 않는다면 돌부리게 걸리는 경우가 자주 발생됩니다. 약하게 굴곡된 상태로 보행을 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엄지발가락 관절은 또 보행에서 굴곡도 중요하지만 신전이 잘 일어나야 합니다. 이유는 발가락이 꺾어야 보폭이 더 넓어져 고관절과 슬관절 신전이 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엄지발가락 신전이 일어나지 않으면 보상으로 발목에서 배측굴곡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고 동시에 무릎과 고관절에서도 완전한 신전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고관절 신전 근육들의 약화 햄스트링이 완전히 늘어나지 않아서 단축되는 경향이 발생합니다.

     

    장무지신근는 디스크 검사를 할 때 자주 쓰이는 근육입니다. 요추 5번의 신경근에 이상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엄지발가락의 신전 힘을 확인해서 빠르게 신경근 근육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한쪽 엄지발가락 신전근육이 약합니다.

     

     

    장무지신근의 근력 검사 및 L5 신경근 검사를 동시에 하고 있는 모습
    장무지신근 근력 검사 & L5 신경근 검사

     

     

     

     

    장무지신근은 아니지만 단무지신근에서 심비골신경이 압박될 수 있어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저림증상 및 통증등이 있다면 발등과 엄지발가락, 검지발가락 사이를 이완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조금 더 강력한 신경문제가 나타난다면 발 처짐(foot drop)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비골신경이 발목이나 정강이 부위에서 손상되거나 압박이 되었을 때 발처짐 증상이 나타납니다.

     

     

    비골신경 문제로 인해서 발생하는 발처짐을 보여주는 사진
    발처짐(foot drop)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