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신경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의 해부학 및 압박 증후군

by 지식 수집가! 2023. 11. 30.

목차

    반응형

    장흉신경은 이름처럼 흉곽에 위치한 긴 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목에 있는 상완신경총에서 시작해서 흉곽 측면으로 길게 밑으로 진행하는 신경이며 전거근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장흉신경에 관한 정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신경의 시작지점은 C5~C7의 앞쪽 가지입니다. 때로는 C8(인구의 약 8% 정도가 가지고 있음)에서도 시작합니다. 다른 많은 상완신경총에서 나오는 신경들과 마찬가지로 이 신경 또한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를 지나가게 됩니다. 사각근을 지난 장흉신경은 쇄골아래로 들어간 후 전거근의 중간 부위(액와선)에서 수직으로 내려갑니다.

     

     

     

    상완신경총을 자세하게 표현한 그림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C5, C6에서 분지한 신경은 중사각근 또는 그 근처에 연결되고 C7에서 분지 한 신경은 C5,6에서 나온 신경과 융합하는데 그 부위가 일반적(70%)으로 갈비뼈 2번 주위에서 일어나고 대략 30%는 갈비뼈 1번 주변에서 일어납니다.

     

    장흉신경의 손상

    장흉신경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긴 신경으로 대략 22~24cm의 길이로 굉장히 긴 길이를 가지고 있는 신경이기 때문에 손상이 일어날 확률이 다른 신경들보다 높습니다. 감염이나 바이러스로 인해서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지만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서 손상을 받거나 병원 치료에 의해서 손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장흉신경의 위치와 경로를 보여주는 그림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가장 일반적인 손상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손상입니다. 쇄골이나 갈비뼈 상부의 골절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주변으로 장흉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골절로 인해서 신경 자체에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 운동선수 중에서 손을 자주 사용하는 (농구, 라켓 경기, 야구) 경기를 진행하다가 팔의 반복적인 움직임 또는 경기 중에 과도한 당김, 충격으로 인해서 신경이 늘어나면서 장흉신경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습니다.

     

    병원에서 수술 중에 혹은 주사를 잘못 맞아서 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도 아주 가끔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겨드랑이나 흉부 혹은 목 부위에 피부를 절제하다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다른 경우로는 발이나 하지에 골절 혹은 손상으로 인해서 목발을 사용하는데 겨드랑이를 너무 강하게 많이 자극하게 되면 장흉신경을 압박하고 그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목발로 인해서 겨드랑이 부위에서 신경 압박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그림
    목발로 인한 신경 압박

     

     

     

     

    마지막으로 무거운 가방을 메고 등산 많이 하시는 분들의 경우와 무거운 물건을 어깨에 올려놓거나 메고 일을 하시는 분들 중에서 목 주변을 어깨 위쪽으로 강하게 압박하게 되면서 그로 인한 장흉신경을 압박하거나 당기면서 손상을 입힐 수도 있습니다.

     

    장흉신경 문제의 증상

    장흉신경이 손상되면 여러 가지 증상 중에 가장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증상은 전거근의 약화입니다. 전거근은 견갑골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굉장히 큰 근육이고 어깨의 안정성 및 운동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이 근육의 약화 혹은 마비는 견갑대에 여러 가지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전거근의 약화는 팔을 위로 올려서 운동을 하거나 작업을 할 때 불안정성과 통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장흉신경의 문제로 인해서 전거근의 약화가 발생하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견갑골의 들리는 형태가 나타나는데 이러한 증상을 익상 견갑(Winged sacpula)라고 합니다.

     

     

     

    장흉신경의 압박으로 인한 전거근의 약화로 익상견갑이 나타난 것을 보여주는 사진
    익상 견갑(Winged Scapula)

     

     

     

     

    또 장흉신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목이나 견갑골 부근에서 발생하는 심부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고 하부 견갑골 및 외측 흉벽에도 나타날 수가 있습니다. 

     

    장흉신경의 압박 부위

    위에서 설명드렸지만 신경 자체가 굉장히 긴 신경이기 때문에 여러 부위에서 압박을 당하거나 손상을 당할 수 있습니다. 장흉신경의 경로를 생각하고 압박을 할 수 있는 구조물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 압박 포인트

    중사각근과 후사각근 사이에서 압박이 자주 일어납니다. 이곳은 구부정한 자세로 인해서 사각근과 주변 근육들이 항상 단축이 일어나는 곳이기 때문에 신경 압박이 자주 일어나는 부위입니다. C5, C6에서 분지한 신경이 중사각근과 후사각근 사이를 지나서 외측 하방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가장 먼저 장흉신경 압박이 일어나는 부위는 중사각근과 후사각근 사이입니다.

     

    두 번째 압박 포인트

    장흉신경은 C5 & C6과 C7 신경이 갈비뼈 1번과 2번 부근에서 융합이 되어서 장흉신경이 됩니다. 이 부위에서는 사각근에 의해서 자주 압박이 되고 그 이후에는 쇄골 아래쪽과 오훼돌기 부근에서 압박이 일어납니다. 이 부위는 쇄골하근과 소흉근이 위치하고 이 근육들의 단축 혹은 라운드숄더로 인한 쇄골과 오훼돌기 부위의 공간이 좁아져서 장흉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감별 진단

    감별 진단을 정확하게는 할 수 없지만 전거근의 약화와 견갑골의 움직임 보고 장흉신경의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근육 혹은 다른 신경의 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장흉신경의 문제가 있다면 전거근의 약화가 발생하고 익상 견갑이 발생하는데 이때 견갑골의 내측이 벌어지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척추부신경이 문제가 발생하면 승모근이 약화가 발생하고 견갑골의 외측 부위가 벌어지고(외측 익상) 견갑골이 하강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견갑배신경의 문제는 능형근과 견갑거근의 약화를 나타내고 견갑골의 외측 및 배측으로 이동시킵니다. 

     

    오늘은 장흉신경의 해부학과 관련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장흉신경은 전거근을 담당하고 약화가 일어나면 견갑대의 여러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에 중요한 신경 중에 하나입니다. 압박 포인트와 감별 진단, 증상들을 공부해 놓으면 좋을 거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