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턱관절의 움직임과 외측&내측 익상근(pterygoid)의 작용

by 지식 수집가! 2023. 6. 18.

목차

    반응형

    턱관절의 움직임과 외측&내측 익상근

    몇 분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하다가 턱관절 이야기가 나왔고 턱관절이 한쪽으로 이동했을 때 근육들의 작용에 대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저도 정확하게는 알지 못하지만 책에서 보았을 때 하악골이 좌측으로 이동했다면 좌측의 측두근과 교근이 쓰이게 되고 반대편(우축)의 외&내익상근이 작용을 한다고 알고 있어서 그렇게 말씀드렸더니 이상하다고 하셨고 조금 더 알아보고 다음에 다시 이야기하자고 했습니다.

     

    그분의 이야기는 다른 분들에게 설명을 들었을 때 하악골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좌측 턱관절의 공간이 좁아지게 되고 그렇게 되면 근육의 유착이 일어나게 되어서 실제로 촉진을 해보거나 이완을 했을 때도 우측 외측&내측 익상근을 이완한 것이 아니라 좌측의 외측&내측 익상근을 이완하였다고 하였고 턱관절의 움직임과 교정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났다고 하였습니다.

     

    저는 책이나 여러 자료에서 아래 그림과 같이 한쪽으로 턱관절이 이동했을 때는 이동한 쪽의 측두근, 교근이 단축, 반대편이 내&외 익상근의 단축으로 알고 있었는데 많은 경험이 있으신 분이 그렇게 말씀하셔서 저도 당황스러웠고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턱관절의 편측이동 시 익상근들의 작용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저의 경우 이런 일이 생기면 누군가에게 물어봐서 해결하는 스타일이 아니라서 여기저기서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합니다. 이런 주제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쉽게 찾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한번 찾아보겠습니다.

     

     

    https://gseek-storage.tistory.com/entry/%EC%A0%80%EC%9E%91%EA%B7%BC-%EC%A4%91-%EC%99%B8%EC%B8%A1%EC%9D%B5%EC%83%81%EA%B7%BCLateral-pterygoid%EC%9D%B4-%EC%A4%91%EC%9A%94%ED%95%9C-%EC%9D%B4%EC%9C%A0

     

    저작근 중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이 중요한 이유

    턱관절 근육의 수는 적지만 하는 일은 많습니다. 말하고, 먹고(씹고, 뜯고), 스트레스받으면 이를 악물고, 잘 때 이를 갈고, 하품하면 입을 벌리곤 합니다. 이러한 동작에 쓰이는 저작근 중에서

    gseek-storage.tistory.com

     

    위 포스팅은 저번에 외측익상근 관련 해부학과 이완법에 대한 것입니다.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기능 관점

    외측익상근의 다른 기능

    외측익상근의 기능에는 하악골을 움직이는 것 외에도 다른 하나의 기능이 있습니다. 외측익상근의 상부 섬유가 턱관절 디스크와 연결되어 있어서 수축을 하면 턱관절 디스크를 앞쪽으로 당기는 기능을 합니다. 하부 섬유는 입을 벌리고 턱을 앞으로 내밀기와 측면으로 운동을 담당합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서 좌우 외측익상근 중에 하나의 근육이 단축이 되어 있다면 디스크와 함께 관절이 앞쪽으로 나오면서 반대편으로 회전을 하게 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좌측(balance side)의 외측익상근이 작용하여서 변형된 하악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턱관절의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으로 한쪽으로 편측이동 한 경우를 나타낸 그림
    턱관절의 편측이동

     

     

     

    더 심하게 디스크를 앞으로 당기거나 반복적으로 당겨서 턱관절 디스크의 탈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하악골의 움직임(입을 벌리고, 닫기)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못하고 통증 또한 크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턱관절 디스크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
    턱관절 디스크의 정상적인 움직임

     

     

     

    턱관절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나타낸 그림으로 클릭 사운드가 어느 부위에서 나타나는지 나타낸 그림
    비정상적인 턱관절 디스크의 움직임

     

     

     

    디스크가 심각하게 빠지지 않더라도 디스크가 제위치에 있지 않다면 입을 벌리고 닫는 순간에 턱관절에서 Clicking sound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외측익상근의 경직은 디스크를 앞으로 당긴 상태에서 머물게 하기 때문에 입을 닫는 과정에서 하악골 과두와 같이 뒤쪽으로 이동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뉴만 kinesiology

     

     

    턱관절의 편측이동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턱관절 근육의 작용을 나타냈음.
    턱관절의 편측이동

     

     

     

    뉴만책에서 유명한 그림으로 그림의 빨간색 화살표가 근육의 작용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위 그림은 턱이 좌측으로 편측이동 했을 때 근육의 작용을 나타낸 것인 데 좌측의 측두근과 교근이 쓰이고 우측(반대편)에서 외측익상근과 내측익상근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턱관절 근육의 작용을 표로 나타낸 그림
    저작근들의 작용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해서 위 표를 보면 가쪽날개근(외측익상근)은 CL = contralateral 쪽으로 힘의 작용이 강력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무어 해부학(Clinically oriented anatomy 6th edition)

     

     

    저작근 근육의 작용과 부착부를 나타낸 그림
    저작근 부착부와 하악골의 움직임

     

     

     

    해부학 교재로 유명한 책입니다. 앞쪽은 부착부 다음은 신경 마지막에 하악골의 움직임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외측익상근(lateral pterygoid) 부분을 보면 양측이 동시에 수축을 하면 하악을 앞으로 내밀고 턱을 아래로 누른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한쪽만 쓰이면 반대편으로 턱을 움직이게 되고, 좌우가 번갈아가면서 한쪽씩 작용을 하면 음식물을 씹는 동작을 만들어 낸다고 하였습니다.

     

    통증유발점의 기전과 치료 1권 382p

     

     

    책의 내용을 캡쳐한 것으로 턱관절의 기능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음.
    외측익상근 하부섬유의 기능 3가지

     

     

     

    입을 벌리 때, 외측익상근의 아래쪽 분절이 더 먼저 더 크게 작용합니다. 외측익상근의 아래 분절은 하악골을 반대쪽으로 이동시킬 때 쓰이고, 이때 동측의 내측익상근과 반대 측 저작근 그리고 측두근의 전방 섬유의 도움을 받습니다.

     

    정형도수치료 진단학

     

     

    정형도수치료 진단학에 나온 턱관절의 작용을 나타낸 표
    턱관절 근육들의 작용과 지배신경

     

     

     

    정형도수치료 진단학에서는 외측익상근의 작용이 동측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유나 설명이 없습니다. 다른 자료들에서는 외측익상근이 반대 측으로 작용한다고 하는 자료들이 대부분인데 정형도수치료학에서만 위에서 보시는 대로 외측익돌근(동측) 이렇게 나와있습니다.

     

    위키피디아

    외측익상근의 일차적 기능은 하악을 돌출시키는 것이고 양측의 외측익상근을 조화롭게 사용하면 턱을 여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외측익상근의 한쪽만 작용한다면 대측성 편위를 유발하며, 일반적으로 내측익상근과 함께 작용합니다.

     

    https://mobilephysiotherapyclinic.in/lateral-pterygoid-muscle/

    턱의 좌우 움직임은 외측익상근의 하부 섬유가 수축하여 하악과두를 전반 내측으로 회전시킬 때 발생합니다. 이 운동은 동측의 내측익상근과 같이 작용합니다. 두 근육의 작용으로 턱을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합니다. 이러한 근육의 쓰임은 음식물을 갈 때 볼 수 있습니다.

     

    임상적 관점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1612/

    Adherences and adhesions

    An adherence represents a brief hold of the articular surfaces. Adhesion can happen between the condyle and disc or the disc and fossa. Adhesions result from a fibrous connective tissue or loss of lubrication between the structures. It is characterized by restriction in the normal translation of the condyle movement with no pain. In chronic situations, the patient senses an inability to get the teeth back to occlusion during the closure.

     

    유착은 관절 표면의 작은 양의 접촉을 나타냅니다. 유착은 하악과두(mandibular condyle)와 디스크 또는 디스크와 하악 와(mandibular fossa)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접착은 섬유 결합 조직 또는 구조 사이의 윤활액의 손실로 인해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 없이 과두 운동의 정상적인 병진운동이 제한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만성적인 상황에서 환자는 입을 닫는 동안 치아가 다시 맞물리지 않는 것을 알게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한쪽으로 반복적으로 씹는 행위와 턱을 괴는 버릇 등으로 인해서 하악골이 편측이동하고 그로 인해서 한쪽 턱관절은 하악과두(mandibular condyle)가 하악 와(mandibular fossa)에 꽉 끼어서 유착이 일어나거나 그 상태에서 주변 조직(턱관절 인대, 근육)의 경직이 일어나서 고정시키려는 경향이 높아질 거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면 편측이동이 한쪽으로 일어나서 외측익상근이 단축(경직)이 발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니 실제로 임상에서 외측익상근을 이완하려면 실제적으로 양측을 만져서 비교해 보는 것이 꼭 필요할 것입니다. 이론적으로는 외측익상근의 작용이 하악골의 반대편 이동이라고 생각되어서 그곳만 이완하면 치료가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과 외측익상근에 대한 이상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임상적인 자료는 조금 부족한 상태라 다음 기회에 더 많은 자료를 조사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