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근육

코어 근육 중에 무시되고 있는 다열근에 대한 정리

by 지식 수집가! 2023. 9. 1.

목차

    반응형

    다열근은 코어 근육 중에 뒤쪽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전면과 측면은 복횡근과 복사근이 담당하고 상부는 횡격막, 하부는 골반저 근육이 담당합니다. 이 모든 근육을 통틀어서 코어 근육이라고 합니다. 여러 운동을 하거나 여러 글을 보아도 다열근에 대한 이야기는 하지 않고 복근과 횡격막 또는 골반저근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하지만 다열근에 대한 것들이 부족하다고 느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다열근에 대한 해부학적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열근(multifidus) 해부학

    다열근은 큰 범위에서 척추기립근에 속하는 근육이면서 코어 근육에도 속하는 근육입니다. 척추기립근의 관점에서 보면 비슷한 기능을 하는 근육으로 최장근과 장늑근이 있고 이 근육들과 함께 요추를 신전시키고 요추의 안정화를 하는데 쓰입니다. 

     

     

    다열근만 잘 보이게한 다열근 해부학 그림
    다열근(multifidus)

     

     

     

    다열근은 위에 언급한 척추기립근보다는 심부에 위치하고 여러 기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천골의 후면, 요추 후면, PSIS(후상장골극), 장골능에서 시작해서 대부분은 척추의 극돌기가 부착되고 대부분 기시점보다 2개에서 4개 정도 위에 있는 척추 극돌기에 부착됩니다.

     

    다열근의 연결성

    • 다열근은 천장인대, 흉요추근막, 장골능의 가장 안쪽 경계와 부착지점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대둔근은 바깥쪽 다열근은 안쪽에 부착되고 그 중간을 나누는 경계가 흉요추근막입니다. 
    • 다열근의 끝부분은 장후천장인대의 밑을 지나 천결절인대와 연결됩니다. 이러한 연결들로 인해서 다열근은 천장관절을 안정화시키는 인대구조에 속하게 됩니다.
    • 다열근, 대둔근, 흉요추 근막이 겹치는 부위는 하후골극(PIIS)보다 내측, 후골간인대보다 내측에 위치합니다. 다시 이 조직들의 가장 앞에는 천장관절낭 합니다.

     

     

    다열근의 해부학 그림과 작용 방향을 나타낸 그림
    다열근의 해부학과 작용 방향

     

     

     

    다열근의 안정화 기전

    다열근의 위치를 보면 척추 가장 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로 인해서 수축을 하여 부풀어 오르면 다열근을 덮고 있는 흉요추근막을 팽창시킵니다. 그러면 다시 흉요추근막과 연결된 광배근과 대둔근의 근육 수축을 가져오고 이로 인해서 천장관절 및 요천추 부위에 압박력이 증가하고 안정화를 증가시킵니다.

     

     

    다열근과 주변 조직의 연결성을 보여주는 그림
    다열근과 주변 조직들의 단면

     

     

     

    다열근과 연결된 다른 조직으로는 천장인대, 천극인대와 연결성을 가지고 있고 다열근의 수축으로 이 인대들은 긴장을 하게 되고 천장관절에 안정성을 증가시킵니다.

     

    다열근과 요통

    다열근이 사용되는 자세나 움직임은 물건을 들어 올릴 때, 상체를 움직일 때, 보행 등 다양한 상황에서 쓰이기 때문에 다열근의 위축이나 기능저하가 발생하면 요통과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우선 코어 근육으로써 다열근의 위축 혹은 약화는 코어 근육 전체에 영향을 미칩니다.

     

    나머지 다른 코어 근육들이 다열근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고 그로 인해 코어 근육들의 과사용이 일어나게 될 것입니다. 코어 근육 간의 발란스가 깨지면 체간을 잡아주는 기능이 떨어질 것이고 그로 인해서 요추, 천장관절 및 주변에 통증이 일어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다열근이 위치한 요추에 측만증으로 인해서 척추가 휘어져 볼록해진 쪽에 다열근의 단면적이 감소한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측만증 또는 요추에 발생하는 측굴 같은 체형의 변화가 다열근의 크기 감소를 가져오고 다열근의 감소는 다시 감소한 부위에 안정성을 떨어뜨리고 다시 그 부위에 통증을 발생시킬 것입니다.

     

    코어 근육으로써의 다열근과 다열근과 연결된 구조물 그리고 통증에 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