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

발목 내측 인대(MCL) / 삼각인대(Deltoid ligament) 해부학 정리

by 지식 수집가! 2023. 10. 1.

목차

    반응형

    발목 인대는 일반적으로 내측과 외측에 인대로 구분합니다. 내측 인대는 발목의 구조상 발목이 꺾여서 손상을 입지는 않지만 인대의 단축으로 인해서 발목의 구조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인대의 기능으로 발목의 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어떻게 제한을 하는지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발목 내측 인대(Medial collateral ligament of ankle)는 심부 인대와 표층 인대로 다시 구분이 됩니다. 심부인대에는 심부라는 표현이 붙게 되는데 이유는 표층 인대와 이름이 같은 인대가 있어서 구분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여기서 정리한 인대들이 모두 신체에 반드시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몇몇 인대는 사람마다 해부학적 특성으로 인해서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책마다 자료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내측 인대의 이름은 경골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경골을 먼저 이름에 넣고 그다음에 연결되는 부위를 넣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경골이 나중에 붙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대부분 경골을 인대 이름 앞자리에 넣어서 저도 그렇게 정리하였습니다.

    예) 전거경인대(anterior talotibeal ligament) -> 전경거인대(anterior tibiotalar ligment) 

     

    심부 발목 내측 인대

    심부 후경거인대(DPTTL : deep posterior tibiotalar ligament) 

    심부 후경거인대는 발목 내측 가장 깊은 곳에 존재하고 이름 그대로 가장 안쪽이면서 뒤쪽에 존재합니다. 그리고 경골과 거골을 연결해 주는 인대입니다. 인대의 연결부위는 경골의 후방입니다. 

     

    여기서 경골의 끝 부위 모양에 대해서 이해를 하면 인대의 부착부를 이해하기가 굉장히 쉬워집니다. 아래 그림 1번이 경골 앞쪽 부착부 전구(anterior colliculus) 2번이 중간 부착부 구간홈(intercolliculus groove) 3번은 후구(posterior colliculus)입니다. colliculus를 한국어로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저도 잘 몰라 구, 두덩, 언덕 중에 구로 해석하였습니다.

     

     

    경골 말단의 인대 부착부를 숫자로 표현한 그림
    경골 말단 인대 부착부

     

     

     

    심부 후경거인대는 3번의 가장 안쪽(몸의 중심으로 가까운 부위)에 부착되어서 후내측 거골결절에 부착됩니다. 이 인대의 방향을 보면 위쪽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 뒤쪽 방향, 바깥쪽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거골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고 발목의 배측굴곡을 제한합니다. 또 지면에 발이 닿아 있고 거골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경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합니다.

     

     

    심부 인대의 부착 부위를 나타내는 사진
    발목 내측 심부 인대 부착부

     

     

     

    내측 심부 인대를 조금 더 자세하게 보여주는 그림
    내측 심부 인대

     

     

     

    심부 전경거인대(DATTL : deep anterior tibiotalar ligament)

    전경거인대는 표층에 존재하는 인대이고 심부 전경거인대는 이름과 부착부위가 비슷하나 조금 더 발목 깊숙이 부착되어 있는 인대입니다. 전경거인대는 가끔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위 그림처럼 심부에 위치하는 인대이고 경골과 거골을 연결하는 인대입니다.

     

    부착부는 맨 위 첫 번째 그림 1번 전구(or 전치구 : anterior colliculus)에 부착되고 바로 아래 거골에 부착됩니다. 거골 부착부는 거골 내측면의 앞쪽 위쪽 부위입니다. 거골의 연골부위 바로 아래입니다. 이 인대의 섬유 방향은 거의 직하방에 가깝고 약간 전하방을 향하고 있습니다. 주로 거골의 외측 이동과 외번을 제한합니다.

     

    심부 발목 내측 인대의 특징

    - 심부 발목인대는 발목관절(관절낭) 안에 존재한다는 자료가 있습니다. 심부 내측 발목 인대는 관절낭 내에 있어서 윤활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 심부 인대들은 발목의 안정성에 더 큰 기여를 합니다. 근육도 심부 근육이 안정성을 유지하는 근육으로 쓰이고 외측에 있는 근육들이 주로 움직임과 힘을 쓰는데 쓰이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 또 심부 발목 인대들은 안정성과 경골과 발뼈들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발목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안정성의 기능과 경골에서 발로 체중을 전달하고 체중 분산의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 심부 인대와 표층 인대의 기능이 다르기 때문에 불안정성 패턴을 파악해서 손상 부위를 예상할 수도 있습니다.

     

    표층 발목 내측 인대

    표층 인대는 총 4개 혹은 3개로 보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3개의 인대만 소개하겠습니다. 경주인대, 경종인대, 스프링인대입니다.

     

    경주인대(TNL : tibionavicular ligament)

    경주인대는 경골과 주상골을 연결하는 인대이고 가장 앞쪽에 그리고 가장 표층에 있는 내측 인대입니다. 부착부는 경골의 내측 1번 전치구에서 시작해서 거골 관절 연골 경계 바로 앞쪽에 있는 주상골의 배측 & 내측 표면에 부착합니다. 이 인대는 경골에서 주상골까지 부채꼴 모양으로 이어지고, 족저굴곡과 외전과 외회전을 제한합니다.

     

     

    표층 내측 발목 인대를 나타낸 그림으로 색깔을 다르게 표현한 그림
    표층 발목 내측 인대

     

     

    경종인대(TCL : tibiocalcaneal ligament)

    경종인대는 표층 발목 내측 인대 중에서 가장 뒤쪽에 위치한 인대입니다. 경골 부착부는 3번 후구(posterior colliculus)이고 종골의 부착부는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에 부착합니다. 인대의 방향은 아래방향과 약간의 뒤쪽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 인대는 거골하 관절에서 종골의 외전을 제한하고 거골의 내측 안정성에 기여합니다.

     

     

    발과 발목 인대의 부착부위를 나타낸 그림
    발목 인대의 부착부

     

    스프링인대(TSL : tibiospring ligament) 

    스프링인대는 아주 얇은 인대로 표층 발목인대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인대는 특이하게 스프링 인대와 연결이 되는 인대입니다. 경골에서 시작해서 스프링인대와 섞이게 됩니다. 경골의 부착부는 심부 전경거인대 바로 위에 부착되어서 아래쪽 스프링인대의 위쪽에 섞이게 됩니다.

     

     

    발목 내측 인대를 모두 나타낸 그림으로 부착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발목 내측 인대 부착부

     

     

    발목 내측 인대의 구성과 부착부 그리고 기능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발목 내측 인대는 손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 곳이라 관심이 덜하지만 발목의 움직임과 발목 내측에 지나가는 구조물들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