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학/근육

목과 머리 근육의 움직임 협력근(synergist)과 길항근(antagonist)

by 지식 수집가! 2023. 8. 11.

목차

    반응형

    머리와 목을 움직이는 근육은 작고 긴 모양을 하고 있고 여러 방향에서 작용을 합니다. 이 근육들의 발란스가 잘 맞아야 머리와 목이 제 위치에 있을 수 있습니다. 머리와 목의 자세를 보고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머리와 목 근육들 중에서 움직임을 만드는 근육들을 알아보고 그 근육과 협력을 하는 근육 또 반대로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들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가장 많은 움직임을 만드는 근육

    어떤 관절이나 신체에서 굴곡, 신전, 회전 같은 움직임을 만들 때 당연히 근육의 작용이 필요합니다. 이런 움직임이 만들어질 때 항상 궁금했던 것이 '어느 근육이 가장 힘을 많이 쓰고 어느 근육이 이런 관절의 움직임을 가장 많이 만들지?'라는 의문이 항상 들었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많은 경험과 사람들의 얘기들을 듣고 책에서 많이 보았기 때문에 알고는 있습니다. 

     

    문제는 '정확하지 않다'에 있습니다. 당연히 100%는 없지만 목 굴곡을 할 때는 흉쇄유돌근이 가장 많이 쓰이고 대략 평균적으로 60%의 힘을 흉쇄유돌근이 담당한다. 이러한 정보정도는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잘 못 찾는 건지 무료 정보만 찾아봐서 그런 건지 잘 모르겠지만 저는 아직 많이는 못 찾았습니다.

     

    몇몇 관절에 관한 정도는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정보들을 모아서 조금 정리 놓았습니다. 그중에 오늘은 목과 머리에 관해서 정리한 것들을 써 내려가 보겠습니다.

     

    목 & 머리 굴곡(flexion) 근육 근육

    머리 굴곡 근육과 목 굴곡 근육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일상생활에서는 머리 굴곡, 목 굴곡을 구분해서 움직이지 않고 또 그런 움직임이 잘 일어나지 않아서 두 부위를 합쳐서 정리하였습니다.

     

    굴곡은 당연히 압도적으로 흉쇄유돌근이 강력합니다. 정확하게 힘의 크기를 구한 것은 아닙니다. 모멘트 암의 길이가 긴 것을 보고 추측하는 것인데 제가 구할 수 있는 자료로 봤을 때 그나마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좌측 세로축을 보면 Moment-Generating Capacity (Nm)로 적혀 있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뉴튼미터(Nm)는 돌리는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1 뉴턴 미터는 회전축에서 1 미터 떨어진 곳에서 수직 방향으로 1 뉴튼만큼의 힘을 가할 때의 양을 뜻합니다.

     

     

     

    가장 좌측에 있는 흉쇄유돌근은 대략 1.2~3Nm이고, 전사각근과 두장근과 경장근은 대략 0.2~0.4Nm 정도밖에 안 될 거 같습니다. 정확한 숫자가 나와있지는 않았지만 눈으로 보아도 대략 3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이 표가 아니더라도 흉쇄유돌근의 크기와 길이 두께를 보았을 때 흉쇄유돌근이 가장 강력한 굴곡 힘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은 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흉쇄유돌근이 가장 큰 힘을 가지고 머리와 목을 굴곡시키고 전사각근과 두장근, 경장근이 굴곡을 보조한다고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흉쇄유돌근이 근막경선 표면전방선에 속하기 때문에 흉골근과 복직근이 해부학적 협력근(anatomical synergist)라고 이름을 지어봤습니다.

     

    그러면 굴곡의 길항근은 신전 근육이 될 것입니다. 다음은 신전 근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 & 머리 신전(extension) 근육

    신전 근육도 머리만 신전시키는 근육도 있고 목을 신전시키는 근육도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 머리와 흉추 혹은 견갑골에 연결되어 있어서 목과 머리를 동시에 신전시키는 근육들이 많았습니다. 목 신전 근육들은 대부분 세로로 긴 근육들이 많았고 약한 대각선 방향의 근육 결을 가지고 있는 근육들도 많았습니다.

     

     

     

     

     

    머리와 목을 신전시키는 근육으로는 승모근, 판상근, 반극근, 견갑거근, 심부 척추기립근, 후두하근이 있습니다. 위 표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반극근이 압도적으로 힘이 좋고 다음으로 판상근입니다. 생각보다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힘이 적게 들어가서 놀랐습니다. 위의 표를 보고 생각한 것은 거북목이나 일자목인 상태에서는 승모근과 견갑거근에 문제가 일어날 수도 있지만 더 많이 일을 해야 하는 반극근과 판상근에서도 문제가 잘 일어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신전 근육인데 머리와 목이 너무 앞으로 나가 있는 상태가 되면 머리 무게를 뒤에 있는 신전 근육들이 지탱하고 버텨줘야 하는데 승모근이 굉장히 많은 일을 하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목 근육들이 많은 일을 하고 있었던 거 같습니다.

     

    신전 근육들의 해부학적 협력근은 근막경선의 표면 후방선에 해당하는 척추기립근들입니다. 가장 힘이 좋은 반극근과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그다음으로 신전에 많은 작용을 하는 판상근반대편 능형근과 전거근과 연결되는 나선선에 해당합니다.

     

     

    목 & 머리 회전(rotation) 근육

    회전근육을 설명하기 전에 이해하기 쉽게 얼굴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정해 놓고 설명을 하겠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얼굴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다고 생각해도 좋을 거 같습니다. 좌측을 보는 좌측 회전은 우측 상부승모근(대측)이 가장 많이 쓰입니다. 그다음으로 좌측 판상근(동측), 우측 흉쇄유돌근(대측)이 강력합니다. 나머지 회전근으로는 반극근(동측)과 후두하근(동측)이 있습니다.

     

    머리와 목 회전도 승모근보다는 흉쇄유돌근이 많이 쓰인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을 것입니다. 저도 그런 사람 중에 한 명이었습니다. 생각 외로 승모근의 작용이 컸고 또 판상근의 작용이 많이 있다는 것도 놀라운 사실이었습니다.

     

     

     

     

    협력근으로는 삼각근, 반대편 능형근과 전거근 조금 더 연결시키면 반대편 외복사근까지 근막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를 역으로 생각하면 이 근육들이 경직이 일어나면 승모근과 판상근도 팽팽하게 긴장이 일어날 것이고 반대로 이완이 된다면 승모근과 판상근도 같이 이완이 될 것입니다. 회전의 길항근은 반대편 근육들이 될 것입니다 우측 승모근의 길항근은 좌측 승모근, 우측 흉쇄유돌근의 길항근은 좌측 흉쇄유돌근이 됩니다.

     

    이런 협력근과 길항근의 작용을 이해하고 운동이나 근육이완에 적용한다면 조금 더 편하고 효과적으로 이완과 강화가 가능할 것입니다.

     

    일반적인 변형 C1 좌측 편위, C2~7 우측 회전(SP 좌측) Rt. Cervical Convex
    짧아진(단축) 근육 표층 굴곡 - 사각근, SCM /신전근 - 후두하근, 우측 SCM, 
    늘어난(약화) 근육 심부 굴곡근 - 전두직근, 두장근, 설골근, 
    근육 이완의 장점 심부근육과 균형있는 근육 사용, 두부전방 자세 교정
    관절 안정화 방안 심부(굴근, 신근)근육 활성화(강화) [경장근, 두장근, 반극근]

     

    위 표는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목의 변형 형태와 짧아지고 늘어나는 근육들 짧아진 근육을 이완했을 때 장점과 관절의 안정화 방안에 대해서 저의 생각을 간단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목과 머리의 움직임 그리고 굴곡, 신전, 회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각 움직임에는 협력근과 길항근이 존재하고 가장 큰 힘을 나타내는 근육이 있습니다. 이것들에 대해서 잘 알고 적용한다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