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극하근3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해부학, 극상근, 극하근 테스트와 견갑상신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운동법은? 견갑상신경과 극상근, 극하근 문제에 대해서 정리해 보고 견갑상신경과 관련된 테스트 마지막으로 신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견갑상신경(suprascapular nerve)견갑상신경은 상완신경총 상부인 (C4) C5~C6에서 나옵니다. 견갑상신경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을 모두 가지고 있는 혼합신경이고 극상근과 극하근을 담당합니다. 감각신경은 견갑상완인대, 견갑하활액낭, 견갑쇄골관절, 견갑상완관절낭을 담당합니다.  견갑상신경의 특징으로는 신경의 문제가 발생하면 극상근과 극하근에 통증과 기능저하가 나타나는데 견갑골 내 극관절와절흔에서 신경압박이 일어나면 극하근의 위축(Atrophy)이 나타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아래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2. 견갑상신경 신경 경로경추.. 2025. 2. 14.
어깨 관절낭(Shoulder capsule)의 구조와 연결된 근육(극하근, 견갑하근,상완이두근)들! 관절낭은 관절을 싸고 있는 구조물이라고 생각만 하고 있지 어디에서 어디까지 부착되어 있고 어떤 구조물들과 연결이 되는지 생각을 해본 적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래서 어깨 관절낭의 구조와 연결된 근육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관절낭의 구조어깨 관절낭은 정확하게 말하면 견갑상완 관절(Glenohumeral joint)을 싸고 있는 관절낭입니다. 이 관절낭의 부착부는 견갑골 쪽과 상완골 쪽으로 나눠집니다. 견갑골 쪽 부착부는 관절와 & 관절와순에 부착하고 상완골 부착부는 상완골 경부에 부착합니다.           관절낭도 직접적으로 이완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 adhesive capsulitis) 같은 경우도 그렇고 반복적으로 손을 앞으로 사용하면서 관절낭의 앞.. 2024. 7. 11.
어깨 후방 관절낭 경직 및 유착의 원인과 이완 방법! 어깨 통증은 일상생활과 스포츠 활동에서도 발생하게 됩니다. 어깨 통증의 대부분의 경우 회전근개나 어깨 충돌증후군과 몇 가지 다른 것들이 원인이 되어서 발생하게 되는데 어깨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서 진단에 맞는 처방을 받아서 근육 이완 또는 스트레칭 및 운동을 하면 되지만 정확하게 진단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럴 때 무작정 근육을 풀기보다는 우선 통증을 줄여 줄 수 있는 방법으로 어깨 후방 관절낭 이완을 적용하면 좋을 거 같아서 어깨 후방 관절낭 이완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어깨 후방 관절낭 경직의 원인1. 구부정한 자세로 인한 상완골의 내회전 및 전방 이동으로 어깨 후방 관절낭이 좁아진 상태(앞쪽은 느슨, 뒤쪽은 팽팽한 상태)에서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해서 유착 및 경직이 나타납.. 2024. 5.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