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최근에 발 관련 자료들을 열심히 모으고 있는데 장무지굴근과 관련된 자료 중에 장무지굴근의 유착 및 염증 포인트에 대한 내용을 조금 자세하게 알게 되었고 그 부위가 어떤 이유로 유착 및 손상이 잘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장무지굴근 해부학
기시점 : 비골, 중간 1/3의 후방 측면
정지점 : 발바닥 표면, 말단 지골 지저부(distal phalange base)
신경 : 경골신경, S2 & S3
기능
1. 엄지발가락 굴곡, 발목 저측굴곡 보조
2. 발목의 내번(inversion)
- 장무지굴근 전체를 보면 내측 복사뼈 아래를 지나가게 되고 근육을 수축하면 후경골근 & 장지굴근과 같이 발의 내번을 만들게 됩니다.
3. 서 있는 동안 엄지발가락을 굴곡시켜 지면을 압박해 균형을 잡는데 도움이 됩니다.
4. 보행 시 추진력을 만듭니다.
위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장무지굴근의 문제는 발목 내번 상태를 만들어서 반복적인 발목 염좌를 일으킬 수 있고, 서 있는 동안 균형과 보행 시 추진력에 저하를 일으킵니다. 또 장무지굴근의 단축은 엄지발가락의 신전의 제한을 만들기 때문에 엄지발가락 관절 가동성 제한을 야기하고 그로 인해서 보행 중에 발목의 배측굴곡 가동성 제한을 나타나게 됩니다. 이런 일련의 보상작용은 보행의 패턴의 변화를 가져와 신체 전반에 걸쳐서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장무지 굴근은 긴 근육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문제가 될만한 부위가 짧은 근육들보다 더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장무지굴근과 비슷한 경로를 지나가는 근육이 2개 더 있습니다. 후경골근(Tibia posterior), 장지굴근(Flexor digitorum longus)입니다.
경골과 비골에 기시점을 가지고 있는 이 3개의 근육은 비골 쪽(외측)에 장무지굴근, 중앙에 후경골근, 경골 쪽(내측)에 장지굴근이 위치합니다. 당연히 그 위에는 가자미근과 비복근이 덮여 있습니다. 이 근육들은 모두 내측 복사뼈 아래를 지나가고 그중에 장무지굴근만 거골의 후결절(talus of medial tubercle)과 재거돌기(sustentaculum tali) 아래로 지나갑니다.
위 그림에서도 보이지만 발목 내측에서 힘줄의 방향이 급격하게 꺾이게 되고 뼈의 파인 곳을 지나갑니다. 이러한 부위에서 항상 힘줄과 다른 조직과의 유착이나 마찰로 인해서 문제가 발생하기가 쉽습니다.
장무지굴근 압박 포인트 3가지
장무지굴근 압박 및 손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순서(Bencadino J. 2008)
1. 굴근 지지대(Flexor retinaculum)
굴근 지지대는 지난번에 정리한 족근관 증후군에서 이야기를 많이 다루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다시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이 부위는 후경골근과 장지굴근, 장무지굴근의 힘줄이 과도한 이탈을 막기 위해서 굴근 지지대가 압박하고 있는 부위입니다. 이 부위가 가장 흔한 장무지굴근 압박 부위입니다. 발의 불안정성, 발의 내전(adduction), 조직의 반복적인 손상으로 인해서 굴근 지지대와 각 근육들의 힘줄을 싸고 있는 막(건초 : tendon sheath)과 유착이 잘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2. 종자골간 인대
종자골(sesamoid bone)은 엄지발가락 아래에 위치하는 뼈로 힘줄에 전달되는 무게와 힘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힘줄의 과도한 마모와 손상을 보호합니다.
엄지발가락에 있는 종자골의 위치는 첫 번째 중족골두 아래에 위치합니다. 이 종자골들을 고정하기 위해서 인대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그 아래로 장무지굴근의 힘줄이 지나갑니다. 물리적인 자극이나 종자골의 위치 변화로 인해서 이 인대가 장무지굴근 힘줄과 유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헨리의 매듭
헨리의 매듭(Henry's knot)은 장무지굴근 힘줄과 장지굴근 힘줄이 발아래에서 교차하는 지점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복사뼈 내측을 지나기는 근육은 총 3개(위에서 순서대로 Tom -> Tibia posterior / Dick -> flexor Digitorum longus / Harry -> flexor Hallucis longus. 톰 딕 해리로 암기)이며 가장 아래에 장무지굴근이 지나갑니다.
그러나 굴근 지지대(Flexor retinaculum)를 지나면서 장무지굴근의 힘줄의 경로가 약간 위로 올라오고 장지굴근의 힘줄이 약간 내려가서 두 힘줄이 교차하게 됩니다. 이 부위를 헨리의 매듭이라고 하고 당연히 힘줄이 꼬여 있기 때문에 유착과 마찰이 발생하기 쉬습니다.
평발과 장무지굴근
발의 아치가 무너지게 되면 발아래에 위치하는 인대 구조물뿐만 아니라 근육들도 자극을 받게 됩니다. 이때 장무지굴근도 같이 자극을 받게 됩니다. 발 아치가 무너질 때 전체적인 아치가 모두 낮아지지만 주상골과 종골 내측 아래를 지나가는 장무지굴근 힘줄이 다른 근육보다 조금 더 자극을 받게 됩니다.
엄지발가락 또는 발바닥 통증의 원인이 장무지굴근 때문일 수 있다는 전제에서 몇 가지 정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목 관절(ankle joint) 움직임과 축에 대한 정리 (0) | 2024.07.15 |
---|---|
어깨 관절낭(Shoulder capsule)의 구조와 연결된 근육(극하근, 견갑하근,상완이두근)들! (0) | 2024.07.11 |
어깨 후방 관절낭 경직 및 유착의 원인과 이완 방법! (2) | 2024.05.12 |
목 부위 통증과 흉추 운동과 교정의 효과(논문 정리) (0) | 2024.04.24 |
평발과 요족 측정법과 원인, 발 변형과 장비골근(peroneus longus) (1) | 2024.04.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