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어깨 충돌(Shoulder Impingement) 증후군의 원인 정리와 해석

지식 수집가! 2023. 12. 27. 08:00
반응형

어깨 부위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서 충돌이 잘 일어나는 부위입니다. 좁은 공간에 여러 구조물들이 지나가고 일상생활 및 운동, 스포츠에서도 많이 사용하는 부위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형태로 어깨에서 충돌이 일어나고 그것을 테스트하는 방법은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어깨 충돌의 정의

어깨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은 견봉하 공간 즉 견봉과 오훼돌기 아래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그곳에 위치한 극상근 힘줄이 찝히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어깨충돌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원인이 다양하고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어깨충돌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어깨 견봉하 공간을 보여주고 충돌지역을 나타낸 그림
견봉하공간과 충돌지역

 

 

 

 

일반적으로 견봉하 공간에서의 충돌로 인해서 1차적인 기계적인 협착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서 기능적인 장애가 발생하게 됩니다. 어깨충돌이 일어나는 원인들을 정리하고 그에 맞는 어깨충돌 치료법과 테스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어깨충돌증후군의 원인

1. 상완골두 상승 문제

어깨충돌증후군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상완골두의 상승으로 인해서 견봉아래의 공간이 좁아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상완골두의 상승의 원인 또한 다양합니다. 우선 상완골두를 위로 올리는 근육의 단축으로 인해서 상완골이 위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삼각근의 단축으로 상완골이 상승하게 될 수 있습니다. 삼각근은 쇄골과 견갑골에서 시작해서 상완골의 삼각근 결절에 부착되는 근육으로 정상적인 상태라면 상완을 외전 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극상근의 기능이 떨어지고 삼각근의 단축이 일어나서 견관절에서 상완골의 정상적인 회전이 일어나면서 외전이 발생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게 되면 상완골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낳고 그러면 상완골과 견봉의 간격이 좁아져서 충돌이 일어나게 됩니다.

 

 

 

상지의 외전을 일으키는 근육들과 짝힘을 보여주는 그림
상지 외전과 짝힘

 

 

 

 

반대로 생각하면 상완골을 아래로 하강시키는 근육도 있을 것인데 이 근육들의 문제(약화)로도 상완골이 상승하게 되면서 견봉하 공간이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대흉근의 하부 섬유(늑골지), 광배근 등의 약화는 상완골을 아래로 당기는 힘이 약화되어서 상대적으로 상완골을 상승시키게 됩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대흉근이 약화되는 일은 잘 없지만 신경의 압박이나 대흉근과 광배근을 담당하는 신경의 손상으로 충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상완골 내회전

상지를 외전 시킬 때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외전 시킬 때와 손바닥을 천장을 향하고 외전 시킬 때의 어깨의 움직임은 확연하게 다릅니다. 특히 어깨충돌증후군을 가지고 있거나 공간이 좁아져 있는 사람들에게는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면 통증이 발생하지만 손바닥을 천장을 향하고 외전을 하게 되면 통증이 없는 상태로 외전이 가능합니다. 그 이유는 상완골두의 대결절의 위치가 내회전을 한 상태에서는 외전을 하게 되면 오구견봉인대(coracoacromial ligament)와 바로 맞닿게 되어서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상완골을 내회전 시키는 근육이 과도하게 발달되거나 단축되면 그로 인해서 과도한 상완골의 내회전이 발생한 상태로 생활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견관절을 사용하게 되면 충돌이 더 많이 잘 일어나게 되어서 견봉하 공간에 있는 조직의 손상으로 발전될 수 있습니다. 

 

상완골을 내회전 시키는 근육으로는 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이 있습니다. 이러한 근육의 단축과 과사용으로 인한 구축은 상완골을 과도하게 내회전 시키고 그로 인해서 어깨충돌증후군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3. 뼈 모양 이상(선천적 & 후천적)

신체의 선천적인 뼈의 문제는 우리가 해결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마찬가지로 후천적으로 변형된 뼈의 문제도 해결이 쉽지 않습니다. 견봉(acromion)의 모양도 선천적인 이유와 후천적인 이유로 모양이 다르고 그로 인해서 견봉하 공간이 좁아질 수 있고 조직들이 손상받기 쉬워집니다. 이러한 견봉의 모양을 3 가지고 분류하는데 1형(평편형 : flat), 2형 (곡선형 : curved), 3형 (후크형 : hooked)이 있습니다. 

 

 

 

견봉의 선천적인 다양성을 보여주는 그림
견봉의 해부학적 다양성

 

 

 

 

평편한 견봉은 가장 공간이 넓기 때문에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는 일은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곡선형은 조금 더 좁아지게 되고 후크형은 더 많은 공간의 감소가 나타납니다. 그렇기 때문에 X-ray를 찍어보면 후크형을 가진 환자에서 더 어깨충돌증후군이 나타날 확률이 높습니다.

 

후천적으로 인대나 힘줄에 반복적인 자극이나 손상 후에 석회화가 진행되거나 견봉과 쇄골에 골절로 인한 뼈의 모양 변형 또는 골극이 자라게 되거나 해서 견봉하공간이 좁아질 수도 있습니다.

 

4. 견갑골의 문제

견갑골은 상완골과 연결되고 견갑골의 한 부분이 견봉이기 때문에 견갑골의 문제로 인해서 어깨충돌증후군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가장 흔한 경우가 견갑골을 안정화시키는 근육의 약화입니다. 견갑골이 안정화(고정)가 잘 되어야 상완골이 견갑골 위에서 자연스럽게 구르고 미끄러져서 상완골두의 상승 없이 상지의 움직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견갑골이 불안정하게 되면 특히 전거근과 상부 & 하부 승모근의 약화로 견갑골의 상방 회전 기능이 약화됩니다. 견갑골의 상방 회전은 상완골이 외전 하면서 적절한 비율로 견갑골이 상방 회전이 일어나야 견갑골(견봉)과 상완골의 공간이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지의 외전이 일어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견갑골의 상방 회전의 부족(견갑골 상방 회전 근육의 약화 : 전거근, 상부 & 하부 승모근)이 발생하면 견봉이 상승하지 않게 되고 그러면 외전 하는 상완골과의 공간이 쉽게 좁아지게 됩니다. 다시 설명하면 위와 아래 구조물 두 개가 있는데 아래 구조물이 위로 올라가면 비슷한 거리로 위쪽 구조물도 위로 올라가야 하는데 위쪽 구조물을 움직이는 근육의 약화로 위쪽 구조물은 움직임이 적게 나타나고 아래 구조물은 정상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두 구조물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설명이 더 어려운 거 같기도 합니다...]

 

저는 원인을 정확하게 알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원인이 불명확하고 다양한 경우도 모든 원인들을 이해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알게 되면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은 어깨충돌증후군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