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상완골 내회전 변형과 근육 부착부 이완 방법!

지식 수집가! 2024. 3. 17. 22:35
반응형

상완골의 회전을 담당하는 근육들은 생각보다 많은 근육들이 존재합니다. 회전근개 근육들은 당연히 회전과 관련된 작용을 하고 견관절의 안정화에 도움을 줍니다. 회전근개 외에도 주변에 위치하면서 더 강력하게 회전에 관여하고 더 큰 힘으로 작용하는 근육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상완골을 내회전 변형을 시키는 근육들의 이완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내회전 근육들만 노란색으로 표현한 그림
내회전 근육(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

 

 

 

 

상완골 내회전 근육

회전근개 근육 중에서 내회전을 담당하는 근육은 견갑하근뿐입니다. 견갑하근을 제외한 내회전을 일으키는 근육은 대흉근(Pectoralis major), 광배근(Latissimus dorsi), 대원근(Teres major)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대흉근과 광배근 같은 더 큰 근육이 상완골 내회전에 더 강력하게 작용을 합니다.

 

상완골은 일반적인 상황에서 내회전 변형이 자주 일어나게 됩니다. 손을 사용하게 되면서 견갑골의 거상과 상방회전(또는 거상만)이 일어나고 손을 사용할 때 손바닥이 아래로 향한(회내 : pronation) 상태에서 사용하지 [컴퓨터, 글씨 쓰기, 요리 등등] 손바닥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이러한 이유로 상완골이 내회전 변형된 상태가 외회전 변형 상태보다 일반적이고 그로 인해서 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이 단축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근육의 유착

모든 조직은 막을 가지고 있고 그 막에 싸여 있기 때문에 흩어지지 않고 각 근육과 조직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막(근막)은 신체 내에서는 접착제 역할을 합니다. 근막과 근막이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거나 같은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하게 된다면 근막과 근막에서는 유착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와 같은 원리로 근육에 존재하는 근막이 주변 조직(힘줄, 뼈, 다른 근육)과 맞닿아 있거나 가까이 위치하면서 자연스럽게 유착이 일어납니다.

 

상완골에서는 근육이 상완골을 감싸면서 부착되는 회전근개 근육들에서 이러한 유착이 일어나고 특히 뼈와 닿는 면적이 넓은 견갑하근과 극하근이 견갑골 또는 상완골에 유착이 잘 일어납니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견갑골에서 상완골로 연결되어 있는 근육들의 유착으로 인해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이 되어서 주변에 다른 관절(견쇄관절, 견흉관절, 흉쇄관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상완골 근육 유착

내회전 변형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각각의 근육들을 이완하고 견관절 주변 조직들을 이완해서 내회전 변형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을 오랫동안 적용해 본 결과 근육과 주변 조직 이완의 지속시간이 길지 않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근육의 이완을 조금 더 오랫동안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시점과 정지점을 이완하고 근육 자체와 주변에서 일어나는 유착을 해소해야 이완 상태가 더 오랫동안 유지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내회전을 일으키는 근육인 대흉근, 광배근, 대원근, 견갑하근의 기시점과 정지점 주변에 유착이 일어날 만한 곳을 모두 이완해야 합니다. 오늘은 그중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는 유착 부위인 상완골 근육 부착부 이완 방법만을 소개하겠습니다.

 

상완골 소결절에는 견갑하근이 부착되고 그 아래쪽에는 대원근의 정지점이 위치합니다. 조금 더 외측으로 이두근 장두의 힘줄이 지나가는 고랑(groove) 즉 결절간구(intertubercular groove)에 광배근이 조금 더 길게 부착되고 조금 더 외측에 마지막으로 대흉근이 정지점이 위치합니다.

 

 

 

상완골에 근육 부착부를 나타난 그림
상완골 내회전 근육 부착부

 

 

 

 

상완골에 정지점을 가지고 있는 4개의 내회전 근육들이 정지점의 위치가 굉장히 가깝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부위를 동시에 압박하면 한 번에 상완골 내회전 변형을 일으키는 근육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상완골 내회전 이완

환자는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손을 머리 위로 올려서 손을 베드 바닥에 놓거나 귀를 잡으라고 합니다. 치료사는 대흉근 근육 밑 겨드랑이로 손을 넣고 상완골 쪽으로 천천히 이동하면서 압박합니다. 이 부위는 간지럼이나 통증에 민감한 부위이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를 보면서 압박합니다.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치료사가 환자의 겨드랑이를 이완하고 있는 사진
상완골 내회전 근육 이완

 

 

 

 

대흉근 아래로 손을 넣은 상태에서 상완골 쪽으로 이동하면 손은 대흉근 정지점 바로 내측에 위치하고 그 부위가 광배근과 대원근, 견갑하근의 정지점 부위가 됩니다. 이 부위를 조금 넓게 여러 손가락으로 압박합니다. 이렇게 되면 대흉근의 정지점 내측과 광배근, 대원근의 정지점 그리고 견갑하근 정지점의 외측을 압박하게 됩니다.

 

치료사는 상완골 대결절 아래 부위를 압박한 상태에서 환자의 팔꿈치를 내전과 외전을 반복시키거나 환자 스스로 외전과 내전을 반복하라고 지시합니다. 이렇게 되면 상완골에 부착된 근육과 힘줄의 유착을 해소할 수 있고 내회전 근육들의 힘줄을 자극해서 골지건기관(GTO)을 동시에 자극하여서 더 많은 이완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더 강력한 이완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한 데로 정지점과 기시점, 그리고 근육 주변의 유착을 모두 해소시켜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