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무지외반증(Hallux Valgus) 원인의 이해 그리고 이완이 필요한 근육!

지식 수집가! 2024. 5. 6. 15:01
반응형

무지외반증은 가장 많은 발 변형 중에 하나로 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무조건 통증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통증이 없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은 통증과 불편감으로 수술을 많이 하는 질환 중에 하나이지만 통증이 없어도 미용 목적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오늘은 무지외반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이해해 보도록 노력하고 어떤 근육을 이완하면 무지외반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는지 한 번 알아보고 정리해 보겠습니다.
 

무지외반증(Hallux Valgus)의 진단

무지외반증에 대해서 진단하기 전에 무지외반증은 왜 무지외반증인지에 대해서 알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한 거 같습니다. 발가락 움직임의 기준이 예전에는 2번째 발가락이 기준이어서 벌어지면 외전, 2번째 발가락을 향해서 모이면 내전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준을 발 내측(발과 발 사이 몸의 중심을 기준으로 둠)을 기준으로 두고 있어서 이 기준점에 가까워지는 것은 내전 몸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것을 외전이라고 합니다. 그러한 기준으로 보면 아래 그림의 맨 우측 그림에 해당되는 엄지발가락의 움직임이 있기 때문에 무지외반증(Hallux Valgus)이라고 하게 되었습니다.

 

 
 

발가락 내전과 외전의 기준을 보여주기 위한 그림으로 2번째 발가락이 기준인 그림과 신체의 중심, 발 내측이 기준인 그림이 동시에 나온 것
발가락 움직임의 기준점의 변화

 
 
 
 
엄지발가락의 상태가 정상인 경우는 첫 번째 중족골과 첫 번째 근위지절의 각도15도 미만이고 첫 번째 중족골과 두 번째 중족골 간의 각도9도 미만이어야 합니다. 
 
체중을 지지한 상태에서 발을 엑스레이로 찍었을 때 위에 언급한 각도를 넘는 발가락 상태가 되면 무지외반증으로 분류되고 첫 번째 중족골과 첫 번째 근위지절의 각도는 15~20도가 약한 변위 21~39도가 보통 변위 40도 이상이 심각한 변위입니다. 중족골간 각도는 무지외반증을 더 증가시키기 때문에 무지외반증 진단에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같이 측정합니다. 

 

마지막으로 엄지발가락의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엄지발가락 바닥에 위치하던 종자골의 위치가 변화되고 아탈구가 일어나게 되는데 그것의 정도를 보고도 무지외반증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경도 변형 중등도 변형 중증 변형
무지 외반각 20도 이하 무지 외반각 20~40도도 무지 외반각 41도 이상
중족골 간 각도 11도 이하 중족골 간 각 15도 이하 중족골 간 각 16도 이상
종자골 경도 아탈구 종자골의 중등도 아탈구  종자골의 중증 아탈구

 

무지외반증 원인

무지외반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도 딱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크게 두 가지로 원인으로 분류합니다.

 

내재적 원인

내재적 원인이라고 하면 환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것으로 무지외반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내재적 원인은 유전이 됩니다. 무지외반증이 유전으로 발생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지외반증을 가지고는 사람들의 63%가 부모 중에 한 분이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는 성인의 50%가 청소년기부터 무지외반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Hardy. et. al 1945).

 

외재적 원인

외재적 원인으로는 신발의 발가락 부분이 좁은 경우 무지 외반증이 발생하고 또 발과 발가락 부위에 부상으로 인한 병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구두를 많이 신는 여성 그리고 동양계보다는 서양계 사람들에서 더 많이 나타납니다.

 

무지외반증의 발생

무지외반증은 발의 모양으로도 알 수 있지만 첫 번째 중족골 외측에 통증과 굳은살이 나타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입니다. 무지외반증은 위에서 설명한 데로 엄지발가락에서 외반이 일어나거나 중족골에서 내전이 되거나 또는 이 두 가지가 모두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무지외반증의 시작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은 아직 의견이 분분하기 때문에 여러가지를 다 정리했습니다.

 

1. 무지내전근(Adductor hallucis)이 엄지발가락을 당겨서 외반을 만든다.

2. 발의 유연성이 좋아서 발의 회내(pronation)의 증가로 첫 번째 발가락이 회내(또는 내측이동) 되면서 발가락의 변형이 시작된다.

3. 꽉 끼는 신발을 신어서 엄지발가락 부분이 반복적인 외부의 압박으로 인해서 변형의 시작이 일어난다.

4.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첫 번째 중족골과 두 번째 중족골 사이가 벌어지면서 무지외반증이 시작한다.

5.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발가락 근육 힘줄들이 제위치에서 벗어나고 그로 인한 발의 변형이 시작된다.

6. 종자골을 잡아주는 인대의 발바닥 인대의 약화로 인해 종자골(sesamoid bone)의 아탈구가 원인이 된 첫 번째 중족지절관절(metatasophalangeal joint)의 문제가 일어나서 시작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무지외반증이 시작되면 엄지발가락의 움직임을 담당하던 근육들의 힘줄의 위치 변화, 근육들의 단축, 엄지발가락의 변형을 막아주는 관절낭과 인대의 약화 등의 이유로 점차 무지외반증이 진행됩니다.

 

이완이 필요한 근육

무지외반증이 시작되면서 엄지발가락에 부착되는 근육들의 힘줄의 각도가 바뀌게 됩니다. 엄지발가락을 지나가는 근육은 위쪽에 장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longus), 단무지신근(Extensor hallucis brevis), 아래쪽에는 무지외전근(Abdutor hallucis), 무지내전근(Adductor hallucis), 장무지굴근(Flexor hallucis longus), 단무지굴근(Flexor hallucis brevis)이 있습니다.

 

정상적인 발 상태일 때는 이들 근육의 힘줄이 제위치에 있고 발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엄지발가락의 변형, 특히 회내(또는 내측 이동)가 발생하게 되면 엄지발가락 뼈는 내측으로 이동하고 발가락 근육의 힘줄은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이동한 것이 되고 중족골, 엄지발가락과 일직선에 놓여 있던 힘줄들의 위치가 틀어지면서 근육의 수축 시 무지외반증을 더 만드는 힘을 발생하게 됩니다.

 

 

 

장무지신근과 단무지신근의 위치와 힘줄의 위치를 보여주는 사진
발등 쪽 근육(장무지신근, 단무지신근)의 힘줄 방향

 

 

 

 

발등 쪽에 위치한 엄지발가락 근육은 장무지신근과 단무지신근이 있습니다. 이 두 근육은 무지외반증이 발생하면서 엄지발가락 뼈가 조금 내측으로 이동(또는 엄지발가락 회내)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두 근육의 힘줄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근육이 수축하게 되면 엄지발가락의 외반을 더 만들게 됩니다.

 

 

 

발바닥 쪽에 위치한 근육들의 힘줄 위치를 보여주는 사진
발바닥 쪽 근육(내&외전근, 장&단무지굴근)의 힘줄 방향

 

 

 

 

발등 쪽 근육과 마찬가지로 발바닥 쪽에 위치한 근육들도 엄지발가락의 내측 이동으로 근육의 힘줄들이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내전근의 위치가 더 외측으로 위치하고 단무지굴근과 장무지굴근, 외전근이 조금씩 외측으로 이동해 수축을 하게 되면 무지외반증을 더 강력하게 만듭니다.

 

 

 

엄지발가락 중족골을 지나가는 힘줄들을 표현한 그림
무지외반증으로 인한 힘줄의 이동

 

 

 

위와 같은 힘줄 이동이 발생하고 이 근육들의 단축은 무지외반증을 더 가중시키기 때문에 무지내전근, 장무지 굴근과 신근, 단무지 굴근과 신근의 이완이 필요합니다.

 

이 근육들의 이완은 무지외반증을 고치거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엄지발가락의 각도가 정상인 상태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정상인 상태를 벗어난 상태에서 위에 언급한 근육들의 수축까지 있게 되면 무지외반증이 더 진행하게 되는데 이 근육들의 이완으로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이완만으로는 무지외반증은 치료가 되지 않습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의 변형의 정도, 중족곡의 변형, 종자골의 위치 변화, 근육의 문제, 인대와 관절낭의 유연성, 관절의 아탈구 등 여러 가지 문제의 복합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하나의 문제로 인해서 나머지 다른 문제들이 점차 발생하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 치료

무지외반증의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심각한 경우는 대부분 수술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미용의 목적이나 치료적 목적으로 뼈의 변형의 정도가 심각하면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은 수술뿐입니다.

 

그러나 무지외반증의 정도가 심각하지 않거나 초기이면 어느 정도 치료가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치료를 하는 방법은

 

1. 발가락의 변형을 자극하는 꽉 끼는 신발 또는 구두를 먼저 신지 않는 것이고,

2. 그다음으로는 보조기(인솔 : Insol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위에 언급한 근육들을 이완하고 인솔 처방으로 뼈의 위치를 변화시켜 정상적인 상태에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발생하면 어느 정도 효과가 있습니다.

3. 보조기와 운동 요법으로 약 50% 정도 교정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무지외반증의 원인을 이해 해보도록 노력하고 무지외반증을 완화할 수 있는 근육의 이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