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두통(Headache) & 편두통

지식 수집가! 2022. 7. 31. 08:00
반응형
정의

 

두통과 편두통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고 조금씩 달라서 몇 군데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한두통학회의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통은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전체 인구의 70~80% 이상에서 일 년에 한 번 이상 두통을 경험하고 대부분은 심각한 질병으로 인한 경우는 흔하지 않습니다. 

위키피디아에서의 정의는

두통이란 얼굴, 머리 또는 목에 통증이 나타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편두통, 긴장성 두통 또는 군발성 두통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조금 설명이 두루뭉술한 거 같습니다. 

 

종류

원발성 두통

편두통, 긴장형 두통이 대표적이며, 삼차 자율신경 두통(군발성 두통 등), 기타 원발 두통(원발 기침 두통, 원발 운동 두통, 저온 자극 두통, 외압력 두통, 수면 두통)도 포함됩니다.

 

이차 두통

안과질환(굴절 장애, 녹내장 등), 치과 질환(턱관절 장애 등) 이비인후과 질환(축농증, 중이염), 전신감염, 두개강내질환(뇌수막염, 뇌종양, 뇌졸중 등), 물질이나 물질의 금단, 그리고 정신과 질환에 의한 두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근막통증 증후군에서의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두통과 편두통에서의 혈관성 / 상척수성/ 근원성 모델의 변화의 예

 

S : 상척수성 총 효과

M : 근막성 침해수용 입력

V : 혈관성 침해수용 입력

 

a. 두통 없는 편두통

강한 혈관성 입력에도 불구하고 S와 M이 작아서 통증이 없음.

 

b. 전조 있는 편두통

상척수성 또는 근막성 입력이 더 강하여 환자는 통증을 느낌

 

c. 전조 없는 편두통

전조 있는 편두통에서보다 혈관성 입력은 작으나 상척수성 촉진이나 V나 M의 연합 효과로 통증이 있음. 다음 경우는 M과 V의 상대적 크기의 변화에 따라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이 서로 교차하게 됨.

 

d. 긴장성 두통

M은 V보다 크고 S는 중간 내지 크게 나타난다.

 

편두통(Migraine Headache)
편두통은 사춘기, 또는 이른 성인기에 주로 시작하지만, 50세 이후의 나이에 늦게 처음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남성보다 여성이 편두통이 많이 발생합니다.

 

편두통은 혈관성 두통이 가장 흔하다고 합니다. 다른 곳에서는 박동성 두통이라고 합니다. 전체 여성인구의 15~30% 정도가 편두통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원인

두통의 종류는 200가지가 넘는다고 합니다.

 

감염 및 질병으로 인해서 발생합니다. 바이러스, 감기, 인플루엔자 등으로 인해서 여러 다른 증상과 두통이 같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모든 두통의 90%는 일차성 두통입니다. 일차성 두통이란? 기저 질환이나 구조적 문제로 인한 것이 아닌 양호한, 재발성 두통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편두통이 원발성 두통의 한 유형입니다.

 

이차성 두통은 감염, 두부 손상, 혈관 장애, 뇌출혈, 종양 같은 기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차성 두통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일차성 두통은 20~40세 사이에서 처음 시작되고 가장 흔한 형태는 긴장성 두통과 편두통이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 것일까요?

 

머리나 목 주위의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을 하거나 부상 또는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생되는 근육의 경직으로 문제가 발생해서 생기는 두통을 말합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근육 긴장을 해소해 주거나 체형교정, 명상, 찜질, 스트레칭 등을 통해서 통증이 완화됩니다.

 

편두통의 발병 원인
"편두통의 기전은 삼차신경혈관계 이론(trigemino-vascular theory)이 비교적 많은 부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두개 내에 존재하는 통증에 예민한 혈관들은 주로 삼차신경과 연결되어 있는데, 이 신경들은 혈관 주위에서 발생하는 정보와 통증을 중추로 전달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다양한 유발 자극에 의해서 신경말단에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두통을 유발한다."

 

긴장성 두통(Tension-Type Headache)

 

이미 또는 머리 목 주변으로 나타나는 두통을 말하며 이 두통은 발작적인 경우 짧은 경우 30분 정도 길게 지속되면 1주일 정도 나타납니다. 욱신욱신하는 두통보다는 지그시 누르는 듯하게 통증이 나타납니다.

 

스트레스성 두통이라고도 불리고 성인에게 가장 흔한 두통입니다.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 일시적 긴장성 두통 = 15일 미만

- 만성 긴장성 두통 = 15일 이상

 

긴장성 두통이 생기는 원인

 

긴장성 두통의 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일상생활 중에 머리 & 목 근육 주위 근육의 긴장과 경직으로 인해서 생기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의 원인 및 악화시키는 요인

 

1. 잘못된 자세(구부정한 자세)

2. 스트레스로 인한 근육 경직

3. 교통사고 후 근육 손상

4. 수면 부족 및 피로

5. 금식 & 음주

 

뇌 자체에는 통증을 느끼는 신경이 분포가 없기 때문에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머리와 목 주변에는 다른 조직들 예를 들면 혈관들 신경, 근육, 신경을 싸고 있는 막들이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긴장성 두통 특히 근육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두통은 셀프 마사지나 두통을 일으키는 포인트만 잘 알고 있다면 혼자서도 어느 정도 통증의 완화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대로 두통을 일으키는 근육들은 대부분 머리와 목 뼈에 부착되는 근육들입니다.

 

다음은 근막통증 증후근에서 말하는 두통을 일으키는 근육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승모근(Trapezius Muscle)

 

 

상부승모근의 X 표시 부위에 근육이 경직이 심하면 빨간색 부위에 통증이 전달될 수 있는데 이것을 연관통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연관통이 근육들마다 존재할 수 있습니다. 통증 부위가 머리 쪽과 얼굴 쪽에 가까워서 통증을 느끼는 사람들이 두통이라고 생각하는 것이지만 실제로는 머리와 목 주변 근육의 문제로 인해서 통증이 전달되는 연관통을 두통이라고 부르고 느끼는 것입니다.

 

상부승모근은 귀밑과 턱 부위 눈썹 옆 부분에 주로 통증이 나타납니다.

 

지팡이 모양의 이런 도구도 많이 사용하시지만 재질은 나무가 가장 가벼운 거 같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이렇게 몸을 벽에 기대거나 바닥에 누워서 공과 엄지손가락 사이에 승모근 상부 근육이 놓이게 합니다. 뭉쳐 있는 부위를 놓고 가볍게 압박을 합니다. 압박을 하는데 두통이 발생한다면 그곳이 두통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니 반복적으로 압박해주시면 좋습니다. 

 

손을 쓰는 것보다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거 같습니다. 

 

엄청나게 드라마틱한 효과를 없을 수도 있습니다. 보톡스를 맞거나 병원을 가서 근육 이완 주사를 맞거나 강한 마사지를 받아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근육 자체가 긴장도가 높은 근육이고 과도하게 많이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경직도가 높은 근육들은 한 번의 자극으로 치료하기는 힘듭니다.

위에 방법과 스트레칭 또는 가벼운 운동 중에 본인이 편한 방법을 사용하면 좋을 거 같습니다. 당연히 신경을 쓰고 자주 이완해주시는 게 조금 더 효과가 좋을 거 같습니다.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흉쇄유돌근은 핸드폰을 볼 때 경직되고 또 엎드려 주무시는 분은 한 쪽으로 고개를 돌리고 주무시게 되는데 그때 이 근육 경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흉쇄유돌근의 담당 신경은 뇌신경 11번 부신경(Accessory nerve)입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뇌신경을 통해서 바로 자극을 받게 되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셀프 마사지는 근육을 잡고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꼬집듯이 잡고 고개를 살짝살짝 좌우로 회전을 주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마사지라기보다는 ART(active relaease technique)에 가까운 테크닉입니다. 뒤쪽에 있는 근육들은 혼자서 만져서 풀기 어렵지만 흉쇄 유돌근은 셀프 ART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 방법을 추천합니다.

 

방법은 사진보다는 유튜브로 보시는 편하실 거 같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NTtiLOqT8Q

흉쇄유돌근의 경직이 심해지면 두통 및 어지럼증, 구토감, 이명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저 역시 이명과 어지럼증이 한 번씩 오는데 그럴 때마다 혼자서 흉쇄유돌근을 풀고 있습니다.

 

후두하근(Suboccipital muslces)

후두하근은 4개의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근육 자체가 작고 다닥다닥 붙어 있어서 뭉뚱그려서 풀어 주시면 됩니다. 뒤통수가 끝나는 지점 뼈가 아닌 지점에 도구를 놓고 푸는 방법이 쉽고 힘이 덜 들어가기 때문에 저는 그 방법을 많이 씁니다.

 

그중에 저는 개인적으로 이렇게 생긴 딱딱한 베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땅콩볼을 많이 사용하십니다.

 

후두하근은 많은 분들이 경직되어 있고 어떤 형태로든 압박을 하면 바로 통증이 재현되는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후두하근의 수축은 고개를 들게 만드는 동작을 합니다. 하늘을 보거나 고개를 들어 컴퓨터를 정면으로 보게 하는 동작들을 만들 때 작용하는 근육입니다. 뭔가를 볼 때 많이 사용하는 근육이니 컴퓨터 사용이 많은 분들은 대부분은 항상 경직되어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약간의 체형의 틀어짐이 있고 그로 인해 두부나 어깨 높이 차이를 갖게 되고 그 변형의 보상작용으로 머리가 제 위치에 있기 위해서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근육이 후두하근이 항상 쓰일 수밖에 없습니다.

 

측두근(Temporal muscle)

측두근은 생각보다 넓고 큰 근육입니다.

측두근의 연관통으로는 두통과 치통이 잘 나타납니다.

 

몸에는 웬만하면 늘어날 일이 없는 근육들이 몇 개 있는데 그 근육 중 하나가 바로 측두근입니다. 입을 많이 벌린다고 해서 측두근은 많이 늘어나지는 않습니다. 

 

음식물을 씹을 때나 말을 할 때 쓰이는 근육인데 이 근육은 입을 과도하게 벌리거나 할 때 조금 늘어나지 그 외에는 근육이 늘어날 일이 없습니다. 그리고 입을 과도하게 벌릴 일이라는 게 하품 빼고는 전혀 없지 않나요?

 

이러한 이유로 짧아지기만 하는 근육입니다. 

 

짧아지기만 하는 근육이니깐 이완을 해야겠지요. 이완하는 방법은 테니스 공이나 땅콩볼을 머리 옆면에 대고 누르는 방법도 있고 손으로 아니면 주먹으로 문질러주는 방법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을 자주 사용하는 데 측두근을 엄지 또는 손바닥, 손가락들을 사용해서 아래에서 위로 미끄러지듯이 천천히 올리면서 입을 천천히 벌리는 동작을 하면 측두근을 편하게 이완시킬 수 있습니다. 이 방법도 측두근 ART입니다. 

 

단순하게 압박만 하거나 문지르는 것보다는 항상 근육이 천천히 움직이게 하면서 근육을 자극 주는 것이 보다 효과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