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도수치료의 생리학적 효과에 대한 정리

지식 수집가! 2023. 12. 26. 16:28
반응형

도수치료를 받으면서 '통증이 줄어들겠지?', '뭔가 좋은 효과가 있겠지?'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고 몸에서는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살짝 알아보겠습니다.

 

도수치료의 사전적 정의는 "손에 의한 숙련된 혹은 솜씨 좋은 치료"를 의미합니다. 치료사가 손을 사용해서 환자의 문제가 있는 부위나 관련된 부위를 만져서 통증과 체형의 교정 등 여러 가지 효과가 나타나게 합니다. 도수치료에 사용되는 테크닉의 종류가 너무 많기 때문에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하기 힘들지만 간단한 압박과 신장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도수치료를 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사진
도수치료

 

 

 

 

도수치료와 생리학

도수치료의 목적은 환자의 손상부위의 재생과 회복 그리고 치유능력을 상승시키는 것입니다. 치료를 한 부위에 국소적으로 어떤 변화가 나타날 수도 있고 치료로 인해서 신체 전반에 변화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도수치료는 일반적으로 3가지 기관에 영향을 미칩니다.

 

  • 국소조직기관
  • 신경학적 기관
  • 심리생리학적 기관

국소조직은 신체의 여러 조직들을 통칭해서 말하는 것이지만 손으로 압력을 주었을 때 변화가 발생하는 조직들을 모두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혈액, 림프액, 인대, 근육, 건 등을 국소조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신경학적 기관은 운동시스템과 통증을 느끼는 감각 기관을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심리생리학적 기관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근육의 경직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감정과 신체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을 말합니다.

 

압력과 신장에 대한 반응

도수치료라는 행위는 신체에 압력과 신장 같은 물리적인 방식을 적용해서 환자의 신체를 좀 더 편한 상태 혹은 치료를 목적으로 행하는 행위입니다. 이러한 압력과 신장은 위에 설명드린 대로 여러 기관에 작용하게 되고 반응하게 됩니다. 그중에 국소조직에서는 압력에 대한 매우 즉각적인 반응을 하게 됩니다.

 

손상된 조직에 압력과 신장, 당연히 적절한 압력과 신장을 적용하게 되면 환자의 몸에서는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려는 반응이 일어납니다. 압력과 신장으로 인해서 딱딱한 조직(경직된 조직)이 물리적으로 부드럽게 변화하게 되면서 정상적인 조직의 길이나 상태가 됩니다. 그로 인해서 조직의 기능 회복이 일어나게 됩니다.

 

압력과 신장 신체 조직에 존재하는 조직액(혈액, 림프액, 세포외액)을 강제로 흐르게 하여서 손상된 조직에 영양분과 산소등을 공급하게 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기관에서의 반응으로는 신경학적 반응이 있습니다. 압력과 신장은 신경조직을 활성화하며 근육과 같은 조직의 손상으로 신경기능이 떨어져 있던 것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도수치료에 의한 조직의 반응

위의 내용은 조금 더 포관적인 압력과 신장에 대한 내용이라고 한다면 지금 이야기하는 내용은 도수치료 즉 조직에 압력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반응에 대한 것입니다.

 

연부조직의 손상은 적절한 압력으로 회복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조직의 재생과 재형성을 도와주고 직접적인 물리적 자극으로 연부조직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살려주게 됩니다. 또 조직이 손상이 되면 나타나는 유착과 구축 같은 형태의 조직의 변화를 해결해 주는 역할 또한 큽니다.

 

손상으로 인한 관절의 움직임 제한이 발생하고 그로 인한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신체적 결함이 나타나는 것을 도수치료라는 형태의 압력(신장)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에 조직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구조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고, 물리적 형태의 변화, 생리적 변화, 조직액의 역동성 변화를 나타나게 해서 신진대사를 활성화하고 조직의 부종을 감소시키고 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손상된 조직에 압력을 가하는 것은 굉장히 원시적인 방법 같지만 적절한 압력과 특정부위를 잘 압력, 이완한다면 상당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도수치료에 대한 생리학적 효과에 대해서 짧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